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임파선염은 아동에서 잘 걸리는 질환으로서, 대부분 어린나이 때 잘 걸리며 보통 큰 문제없이 저절로 치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아동간호학이나, 아동질병에 관한 책에서 다뤄지지 않는 질병이다. 하지만 환자는 만 9살의 나이에 흔치 않게 심하게 걸린 특이한 케이스로 입원기간동안 굉장히 힘들어하고 고통스러워했다. 그런 모습을 보면서, 이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케어를 해 줄 순 없지만 이 질병에 대해 파악하고 연구하여 환자에게 질병에 대한 교육과 최대한의 도움을 주고자 한다.
1.2. 연구기간
연구기간은 2015년 11월 28일 - 12월 10일 (환자입원일 - 마지막실습전일)이다."
1.3. 사례 선택 동기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각각 학생들에게 케이스 할 환자를 직접 정해주셨다"이다. 이는 환자의 특이한 증상과 치료 과정에 주목하여 이를 자세히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2. 문헌고찰
2.1. 급성 경부 임파선염 정의
경부 림프절계는 두경부, 인후부, 구강 등 목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장기로부터 순환하는 림프계의 집결지이다. 목 부위에서 목을 둘러가며 임파선과 임파절이 존재하는데 어떤 감염이나 기타 악성 종양 등에 의해 면역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임파절은 비대해진다. 이렇게 경부에 있는 임파선이 면역 현상에 의해 비대해 지는 경우를 경부 임파선염이라고 한다.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양성이거나 일시적인 바이러스 감염증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일부에서는 치료가 필요한 결핵이나 악성종양에 의한 임파선염인 경우도 있다.
2.2. 원인 및 병태생리
임파선은 혈액 이외의 체액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기관이다. 정상적인 경우 임파선은 손으로 만져지지 않지만, 임파절은 만져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서는 대부분 뚜렷하게 느껴진다. 임파선염이라고 하면 보통 임파절이 커져있는 상태를 말한다.
임파선 및 림프절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와 관련이 있어 외부에서 균이 들어오면 이에 반응하기 위해서 붓기도 하지만, 오히려 병이 이 통로를 타고 퍼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임파선염이 우리 몸의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일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지만, 다른 병이 이 통로를 통해 퍼지면서 생기는 현상이라면 그 원인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임파선염의 원인은 구강을 비롯한 상부호흡기계의 감염증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감염의 원인으로는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과 같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비정형 결핵균이나 브루셀라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성 질환 이외에 혈액암이나 임파종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고, 유육종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혹은 면역기능에 장애가 생긴 경우에도 임파선염이 발생할 수 있다.
2.3. 증상
경부 림프절염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목이 뻐근하고 통증이 있는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 열이 오르고 식은땀이 나면서 피로감, 체중감소 등 전신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이 그저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대부분 악성종양과 연관된 림프절 종대의 경우에는 체중감소가 있고, 만져지는 종물이 매우 딱딱하며, 만져도 통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림프절염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통증이 동반되지만, 경우에 따라 만져도 통증이 없을 수도 있다.
사례환아의 경우 양쪽 목에 덩어리가 만져지며 촉진 시 통증을 느끼며, 욱신거려 하였다.
2.4. 진단방법
임파절이 비대해진 정도나 발생 속도, 동반된 증상을 고려하여 원인을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적인 증상만으로는 완전히 감별되지 않으므로 필요 시 조직검사를 해야 한다"" 발생한 부위에 따라서 해당 부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