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보건에서 주거 보장 정책에 대한 요약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복지 현황과 과제
1.1. 한국 노인복지 현황
1.1.1. 노인 인구의 변화와 특성
1.1.2. 노인보건의 필요성
1.1.3. 주요 노인복지사업
1.2. 한국 노인복지의 문제점과 과제
1.2.1. 노후 소득보장제도의 확충
1.2.2. 노인주택과 노인복지시설의 현대화
1.2.3. 장기요양보험의 내실화
1.3. 외국의 노인보건 정책
1.3.1.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시설 및 지역사회 돌봄 시스템 비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복지 현황과 과제
1.1. 한국 노인복지 현황
1.1.1. 노인 인구의 변화와 특성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전체 인구의 15.7%를 차지하고 있으며, 갈수록 그 비율이 점점 높아져 미래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외국에 비해 매우 빠른 편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 피라미드층은 30~50대가 많지만, 2060년에는 60대 이상 노인 인구층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성별로는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성비가 62.1이었으나 점차 높아져 2060년에는 91.3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남자 노인의 사망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연령인구인 15~64세는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는 늘어나면서, 노년부양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1.1.2. 노인보건의 필요성
노인보건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현상은 노년기가 되면 누구나 나타나며 이에 따라 만성퇴행성 질환 관리가 필요하다. 노화로 인해 골밀도가 낮아지고 기초대사율이 낮아지며 감각기능이 떨어지는 등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의료시설에 입원하면 본인도 고통스럽고 주변사람들에게도 막대한 의료비의 부담을 주므로, 적절한 질병관리로 조기입원 예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의 건강관리를 통해 의료기관 방문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입원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건강관리를 통해 장기화된 노년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노인의...
참고 자료
윤숙희 외(2017), 『노인간호학』, 수문사.
최선하 외(2021).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개정7판』, 신광출판사.
보건복지부.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안)
[신선한 경제] “고령화, 일본보다 2배 빠른데 연금은 절반” https://youtu.be/mDCBFMaORbc
2021년 달라지는 노인정책 https://youtu.be/f5xFRwmSjoY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2. 수문사.
최윤영 and 하웅용. (2020). 한국, 일본의 노인복지시설과 지역사회 돌봄 시스템 현황 및 향후과제 분석. 인문사회 21, 11(3), 1895-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