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교과목 개요
1.1. 실습기관명
실습기관명은 "정신간호학1실습"이다. 실습기관인 "정신간호학1실습"은 조현병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신간호학 실습 기관이다. 이 실습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요법과 미술요법과 같은 활동요법을 실시하고 있다.
1.2. 실습생 정보
실습생 정보는 다음과 같다.
본 활동요법 실습은 정신간호학실습1 과목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학생성명은 제공된 문서에 나와 있지 않지만, 지도교수의 확인을 받아 활동요법을 실시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실습생은 해당 정신간호학 실습을 통해 정신간호의 실제를 경험하고, 대상자의 회복과 재활을 돕는 활동요법의 기법을 배울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 대상자 현황
2.1. 개인정보
대상자 김OO의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다.
김OO은 32세 남성으로 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종교는 없다. 직업은 무직이었으나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실직상태에 있다. 5년 전 조현병 진단을 받았으며, 최근 실직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매일 술을 마시다가 약물복용을 소홀히 하여 10일 전 입원하게 되었다. 현재는 조현병의 잔여증상으로 음성증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관계망상도 일부 남아있는 상태이다.
2.2. 정신상태 검사
대상자의 정신상태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외모 면에서는 날씨와 나이에 맞는 복장을 하고 있었으며 위생 상태도 적절하였고, 자세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영역에서는 묻는 말에 정확히 답변할 수 있었고, 여전히 관계망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정 상태는 우울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표정도 정동일치를 보이고 있었다. 언어 기능에서는 신어조작, 반향언어, 실어증, 어눌함 등의 이상이 없었다. 이상행동도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 결과, 조현병 진단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입원 전 매일 소주 2병씩 마시던 음주습관이 현재는 11일째 금주 중인 상태였다. 기호식품 사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대상자의 정신 상태 검사 결과에 따르면, 조현병 증상 중 잔여 증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관계망상과 우울감이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입원 전 과도한 음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었다가 현재는 금주 중인 상태이다. 따라서 음악요법을 통해 대상자의 우울감을 완화시키고 정서적 표현을 향상시키는 등의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대인관계 기술도 향상시킬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