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관한 논의 필요성
1.2. 생명권과 기본권 간 충돌 문제
2. 태아의 생명권
2.1. 생명권의 정의와 중요성
2.2. 태아의 생명권 인정 근거
2.3.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결정권 충돌
3. 임신중절에 대한 다양한 접근
3.1. 공리주의적 접근
3.2. 의무론적 접근
3.3. 윤리적 접근
4. 향후 과제
4.1.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결정권 간 조화
4.2. 사회적 합의 모색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관한 논의 필요성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은 최근 여권의 신장에 따라 다시 재논의되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관련된 논쟁은 핵심적인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2020년 4월 헌법재판소가 형법상 낙태죄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논의가 더욱 활발해졌다. 헌법재판소는 기존 낙태죄 조항이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낙태죄 폐지 또는 유지, 허용 기간 등에 관한 다양한 법안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결정권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 문제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중절에 대한 논의는 현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생명권과 기본권 간 충돌 문제
낙태죄 폐지 반대론자들이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관련하여 비판하는 점은 법률의 명확성의 원칙과 관련된 부분이다. 헌법재판소 다수의견이 제시한 '사회적·경제적 사유'는 그 개념과 범위가 매우 모호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결혼하지 않은 미성년자가 원치 않은 임신을 한 경우 그 입증방법이 무엇인지, 소득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지, 사회생활에 지장이 있다는 것과 범위를 어떻게 할지의 문제 등과 같이 사회·경제적 사유의 대부분이 입증하기 어려우며 법률의 명확성의 원칙에 맞지 않다고 주장한다. 사회·경제적 사유에 관하여 입증의 수준을 엄격히 요구하는 경우 '사실상 낙태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라는 비판이 가능하며, 반면에 그 입증의 수준을 낮추는 경우 '사실상 낙태를 전면적으로 허용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낙태죄 폐지 반대론자들은 명확성의 원칙과 관련된 문제를 근거로 낙태 허용 여부에 대한 제반 사항을 검토할 것을 주장한다.
2. 태아의 생명권
2.1. 생명권의 정의와 중요성
생명권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권리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본권이다. 생명권은 모든 기본권의 전제가 되는 권리이며, 인간에게 생명이 없다면 자유와 평등을 논할 실익이 없기 때문에 생명권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헌법은 생명권을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헌법 제10조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에 비추어볼 때 생명권은 당연히 인정되는 기본권이다. 헌법재판소 또한 반복적으로 태아의 생명권을 인정하고 있는데, 태아는 아직 독립적으로 생존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인간으로 될 예정인 생명체이므로 생명에 대한 권리가 인정된다고 판시한 바 있다.
생명권은 인간이기에 누리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이자 어떤 다른 권리보다도 앞서는 절대적인 권리이다. 생명이 없다면 자유나 평등, 행복추구권 등 그 어떤 권리도 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생명권은 다른 기본권과는 달리 제한을 가할 수 없는 무제한적 권리이며, 국가는 생명권을 보장하고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의무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태아의 생명권 또한 헌법적 차원에서 인정받아야 하며,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의 의...
참고 자료
헌법
김민우,2013,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법학논고 vol., no.42, pp. 1-30,d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주디스 자비스 톰슨,2018.7.30. 낙태에 대한 옹호, 전기가오리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2017헌바127,2019.4.11. 형법 제269조 제1항 등 위헌 소원
국가인권위원회 보도자료, 2019.3.18. 낙태를 형사처벌 하는 것은 여성의 기본권 침해
문수례(2007),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