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강생리학의 개요
1.1. 치아의 생리
1.1.1. 치아의 화학적 성질
치아는 무기질과 유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법랑질과 상아질의 무기질 함량은 각각 96%, 65%이며, 주요 성분은 칼슘과 인이다. 이들은 주로 hydroxyapatite(HA, Ca10(PO4)6(OH)2) 결정으로 존재한다.
상아질의 유기질은 주로 Collagen이며, 법랑질의 주요 유기질은 amelogenin과 enamelin이다. 치아의 대사는 치아 맹출 후 서서히 진행되는데, 이는 뼈와는 달리 치아가 일생동안 개조되지 않기 때문이다.
1.1.2. 치수의 생리
치수의 생리는 다음과 같다"
치수는 치아의 내부에 위치한 연조직으로, 치아의 형성, 수복, 감각, 영양 공급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치수는 치수세포, 조상아세포, 미분화간엽세포, 원형세포, 유주세포, 신경, 혈관, 림프관 및 교질섬유, 세포간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치수는 치아의 형성에 관여한다. 조상아세포는 치수의 표층에 위치하면서 상아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수 내부에 존재하는 미분화간엽세포는 필요에 따라 조상아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둘째, 치수는 수복기능을 가진다. 치아에 우식, 균열, 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면 치수 내부의 조상아세포가 자극을 받아 삼차상아질을 형성하여 치아를 보호한다. 이를 통해 치아가 손상된 부위를 수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치수는 감각기능을 가진다. 치수 내부에는 신경이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어, 치아에 가해지는 자극을 감지할 수 있다. 치수 내 신경섬유는 통각, 압각, 온각 등의 감각을 전달한다.
넷째, 치수는 보호 및 방어기능을 한다. 치수 내부의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영양분과 산소가 공급되어 치아를 보호하고, 염증 등의 방어반응을 일으킨다. 치수 내압이 상승하면 치수 내 혈관이 압박되어 혈액순환이 저해되어 치수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
다섯째, 치수는 영양공급기능을 한다. 치수 내 혈관을 통해 치아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가 공급되어 치아의 대사활동을 지원한다.
종합하면, 치수는 치아 형성, 수복, 감각, 보호, 영양공급 등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1.1.3. 치주조직의 생리
치주조직의 생리는 다음과 같다.
치은은 부착치은, 유리치은, 치간유두로 구분되며, 표면은 각화층 또는 착각화층으로 덮혀있다. 치조골은 치주인대를 통해 치근을 지지하고 있다.
치주인대는 치아에 가해지는 교합력과 저작압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며, 치근과 치조골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치아의 위치와 형태 유지, 치아의 감각기능, 악반사의 기계수용기 역할을 담당한다. 치주인대 내에는 Sharpey 섬유가 있어 한쪽은 치조골, 다른 한쪽은 백악질에 결합하여 치아를 지지한다. 그 사이에는 치주인대세포, 신경, 혈관 등이 존재한다.
백악질은 치근을 싸고 있는 얇은 경조직이다. 1차 백악질은 치아 맹출 시 이미 존재하고, 2차 백악질은 치아 맹출 후 형성된다. 백악질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없으며 생리적 흡수나 재형성은 일어나지 않고 계속해서 침착된다. 치근단 쪽으로 갈수록 백악질이 두꺼워진다.치아의 동요도는 0도-생리적인 동요의 범위 내, 1도-협설 또는 근원심 방향의 어느 한 방향, 2도-협설 및 근원심 방향의 두 방향, 3도-협설, 근원심 방향 및 치아장축방향으로 움직임(발치해야 함)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치주조직은 치아를 지지하고 감각을 전달하며, 교합력을 완충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치주조직의 생리적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치주인대와 치조골, 백악질 등의 건강한 상태가 필수적이다.
1.2. 교합과 저작
1.2.1. 교합
교합은 상하악 치아가 접촉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하악의 치아가 서서히 닫힘에 따라 최종적으로 치아가 접촉하게 되는데, 이 때 치아들이 이루어내는 접촉상태를 교합이라고 한다.
최대교합은 치아가 최대의 접촉면적을 가지고 교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의 하악위를 최대교합위라고 한다. 정상적인 교합관계를 이루고 있지 않은 경우 부정교합이라고 하는데, 이로 인해 저작능력의 저하와 심미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연결하면 그것은 수평면이 아닌 만곡을 나타내는데, 이를 교합만곡이라고 한다. 이러한 교합만곡은 기능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형태적으로는 정상적이나 악관절이나 저작근에 병적인 증상이 있는 경우를 기능적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이처럼 교합은 단순히 치아 배열의 문제뿐만 아니라 저작기능과 심미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강생리학적 개념이다.
1.2.2. 하악의 운동
하악의 운동은 저작, 연하, 대화 등의 구강기능 수행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악은 개구, 폐구, 좌우, 전후의 삼차원적 운동을 하지만, 운동범위는 일정한 한계 내에 있다""
중추신경계의 작용에 의해 저작근이 수축하면, 하악과두가 관절와 내에서 회전 및 이동 운동을 한다""
이러한 하악의 운동은 4대 저작근, 즉 교근, 측두근, 내측익돌근, 외측익돌근에 의해 조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