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요구의 개념
1.1. 요구의 정의
요구는 바램(want), 흥미(interests)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의미 역시 다양성을 함축하고 있다"" 요구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과업 가운데 하나로, 잠재적인 학습대상자들의 요구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 밖에서 전개되는 청소년활동이 기본적으로 청소년들의 자발적 참여를 근거로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요구분석이야말로 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1.2. 요구의 종류
1.2.1. 기본요구
기본요구(basic needs)는 인간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비교적 포괄적인 관점에서 언급한 개념이다. 인간은 생애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교육적 동기 또는 학습동기와 관련된 요구를 지니는데, Knowles(1970)는 이러한 기본요구를 신체적 요구, 성장 발전하고자 하는 요구, 안전에 대한 요구, 새로운 경험에 대한 요구, 애정요구, 인정받고 싶은 요구의 6가지로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교육 계획과정에서 마땅히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인간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요구들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기본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2.2. 느낀/표현된 요구
느낀/표현된 요구(felt needs)는 학습자가 인식하고 있을 뿐 행동으로 나타내지 않은 요구를 의미한다. 반면 표현된 요구(express needs)는 학습자에 의해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즉 언어나 문장 등으로 표출되거나 행동화된 요구를 의미한다. 요구분석은 느끼거나 느끼지 않은 요구를 모두 발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의 과정이며, 보통 청소년지도자가 잠재적 학습자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요구를 수렴하고 분석하는 것은 바로 느낀 요구를 표현요구로 전환시키는 대표적인 예이다. 학습자가 개인 차원에서 주관적으로 인지한 요구이기 때문에 그것이 프로그램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당성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1.2.3. 규범적인 요구
규범적인 요구는 객관적인 차원에서 진단된 요구이다. 잠재적 학습자의 현재 상태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상태 간의 차이 혹은 그 부족분을 의미한다. 객관적 차원에서의 진단이며, 잠재적인 학습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인지한 요구가 아니라 전문가나 여타 인증 및 자격 기준에 의해서 결정됨을 뜻한다. 잠재적인 학습들이 미래에 마땅히 성취해야 할 기준과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현재의 상태 사이의 결핍(deficiency)이 요구이며, 이는 학습자가 교육이나 학습 활동을 통해서 도달하여야 할 규범적인 상태(to be normative)라는 것이다.
1.2.4. 비교 요구
비교 요구(comparative needs)는 타인이나 다른 집단과의 비교에 의해 생성된 요구를 의미한다. 타인이 받는 서비스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서비스를 받지 못함으로써 개인이 갖게 되는 요구를 비교 요구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한 지역의 청소년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혜택을 덜 받고 있다고 느끼게 되면, 이는 비교 요구에 해당한다. 즉, 타 지역 청소년들이 누리고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이 비교 요구의 근원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교 요구는 주관적 인식에 기반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동시에 서비스 제공의 형평성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비교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 요구분석의 목적
2.1. 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정보 획득
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정보 획득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잠재적 학습대상자들의 요구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활동이 기본적으로 청소년들의 자발적 참여를 근거로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정확한 요구분석은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요구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자는 청소년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욕구와 필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문화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청소년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활동 내용과 방식, 선호도 등을 파악하여 이를 프로그램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요구분석은 단순히 학습자가 표현한 요구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습자의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 간의 격차를 진단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요구분석은 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정보 획득뿐만 아니라 조직의 문제점 발견 및 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요구분석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요구분석 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들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요구분석 기법으로는 서베이, 관찰법, 개별이력, 결정적 사건분석, 능력분석법, 델파이법 등이 있다. 이 중 서베이는 잠재적 학습자 집단이 비교적 많고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경우 요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다.
요구분석 결과는 프로그램 계획 수립에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요구, 필요, 특성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요구분석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요구분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