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최근 몇 년간 영아학대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영아학대는 영아기에 대한 심각한 문제로, 영아의 건강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런 영아학대는 보호자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적절하지 않은 교육 방법 등이 원인이 되며 이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교육적 그리고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 본 리포트는 영아학대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학대 예방을 위한 방안과 대책을 다룬다.
2. 영아학대 사례와 실태
2.1. 창원 40대 교사의 영아학대
도내 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이던 A씨는 2020년 11월 23일부터 지난해 1월 13일까지 자신이 담당하던 반의 1∼2세 아동 12명을 총 54회에 걸쳐 신체적·정서적으로 학대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어린이집 CCTV 영상 등을 통해 확인된 A씨의 학대 행위를 보면 A씨는 아동의 얼굴에 공 또는 미역 뭉치를 던지거나 머리·볼을 툭툭 치고, 엉덩이를 꼬집거나 팔을 잡아당겼다"" 손으로 아동을 밀어 넘어뜨리기도 했고, 아동의 양팔을 붙잡아 입구에서부터 교실까지 끌어서 이동시키는 행동도 했다"" 식사를 거부하는 아이를 붙잡고 억지로 밥을 밀어 넣는 행위도 여러 차례 반복했다"" 이밖에 장시간 아동을 홀로 방치하거나, 아동들 옆에 있던 풍선을 가위로 터뜨려 아이들을 놀라게 하기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2. C군 사망사건
베트남에서 온 이들 부부는 생계를 병행해야 하는 탓에 C군을 어린이집에 맡겼지만, 일주일 만에 학대로 숨졌다. C군을 숨지게 한 어린이집 원장 B(60) 씨는 지난해 12월 7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아동학대살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조사 결과 B 씨는 C군을 엎드린 자세로 눕힌 뒤 그 위에 엎드려 약 14분간 압박, 질식시켜 살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C군을 장시간 유아용 식탁 의자에 앉혀두는 등 25차례에 걸쳐 신체적 학대를 한 혐의도 받고 있다.
3. 영아학대의 개념과 유형
3.1. 신체적 학대
신체적 학대는 영아의 몸을 상처나게 하거나, 부상을 입히거나, 옷을 벗기거나, 과도한 급식, 질식 등을 일으키는 행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최근 파주 어린이집 사건에서는 교사가 영아들의 얼굴을 공 또는 미역 뭉치로 던지거나 머리와 볼을 툭툭 치는 등의 신체적 학대가 있었다. 또한 경남 양산의 가정어린이집 사건에서는 교사가 영아의 엉덩이를 발로 걷어차는 등의 신체적 학대가 있었다. 이러한 신체적 학대는 영아의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부상, 탈골, 뇌출혈, 장기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영아의 신체적 발달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영아의 생명에도 위협을 줄 수 있다"
3.2. 정서적 학대
정서적 학대란 영아의 정서적 안정성을 해치는 행위로, 고의적인 무시, 비관심, 혐오, 감정적 거부, 엄마 대신 아빠라고 불러야 한다는 등의 행위가 포함된다"" 영아의 경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부모나 보호자로부터의 안정적인 관심과 애정이 매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