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례보고서
1.1. 환자 기본 정보
환자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환자 명은 박OO이며, 연령은 45세의 남성 환자이다. 입원일은 2022년 11월 1일이고, 사정일은 2022년 11월 11일이다. 정보제공자는 환자 본인이다.
환자의 의학적 진단명은 위암(Stomach Cancer)이다. 입원 경로는 외래를 통해 내원하였으며, 입원 방법은 환자 본인이 걸어서 입원하였다. 입원 시 동반자는 가족이 함께 동행하였다.
환자의 활력징후는 혈압 120/80 mmHg, 체온 36.7℃, 맥박 74회/분, 호흡 16회/분이다. 신체계측 결과 체중은 65kg, 신장은 159.3cm이다. 입원 동기는 3개월 전 위암 말기 진단을 받고 호스피스로 내원한 것이다.
환자의 과거력에는 특이사항이 없으며, 가족력에서는 17세 때 뇌출혈로 어머니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 상황
상기 환자는 71세 남성으로 2022년 10월 위암을 진단받고 완화 목적의 항암치료를 받고 있었다. 2023년 2월 25일부터 간헐적이고 묵직한 복통을 호소하였고, 2월 27일경 복통과 전신 무력감이 나타나 본원 외래를 통해 내원하여 호스피스병동에 입원하게 되었다.
CT와 위내시경 검사 결과, 위암 및 림프절 전이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치료를 위해 우측 내경정맥에 Chemoport가 삽입되어 항암치료를 받고 있다. 내원 당시 복부 통증 관리와 완화 간호를 위해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진통제가 PRN으로 투여되고 있다.
환자는 과거력상 고혈압과 우울증을 진단받은 적이 있었으며, 아버지가 폐암으로 사망한 가족력이 있다. 현재 혼자 거주하고 있으며, 큰 딸 또한 위암을 앓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자신도 유전적으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생각에 큰 충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항암 치료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악화되어 식욕부진, 구토, 전신 쇠약감 등의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진행된 위암과 전이로 인해 수술이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완치가 어려운 상태라는 사실에 대해 우울감과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1.3. 전인적 평가
1.3.1. 신체적 평가
신체적 평가에 따르면, 환자는 큰 키에 왜소한 체격으로 Rt. IJV에 chemoport가 삽입되어 있으며 평소에 자주 누워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위암 말기로 인한 전신 쇠약감과 활동 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식수준은 명료하고 지남력도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피부색이 창백하고 탄력성이 저하되어 있어 영양 및 수액 공급의 필요성이 관찰되었다""
호흡기계와 순환기계에서는 특별한 이상 소견이 없었으나, 소화기계에서 오심, 구토,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있어 위장관 증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근골격계와 신경계에서도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아 기능적 장애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종합적으로 위암 말기로 인한 전신쇠약, 영양 섭취 저하, 위장관 증상 등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3.2. 심리적 평가
대상자는 최근 스트레스 생활사건이 없지만, 정서상태가 불안정하고 우울한 모습을 보였다. 현재 질병에 대해 수용하기 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병원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우울척도 검사 결과 31점으로 중등도 우울 상태를 보였다. 이는 대상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