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설사와 관련된 피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1.1. 영양부족
1.2. 피부손상 위험성
1.3. 수술에 대한 불안
2. 만성 췌장염 환자의 간호과정
2.1. 통증
2.2. 수술에 대한 불안
2.3.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1.1. 영양부족
잦은 설사로 인한 식이 섭취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이 대상자의 간호진단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설사 증상으로 인해 식이 섭취가 원활하지 않아 영양 상태가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에 따르면 "이제 죽 먹기 싫어요", "먹으면 또 설사하는데 차라리 안 먹을래요", "아까도 죽 먹고 나서 바로 화장실가서 짜증나요. 그냥 이온음료만 먹을래요" 등의 진술을 토대로 식이 섭취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객관적 자료에서는 식이(죽)을 다 먹지 못하고 남기고, 증상 발현 후 체중이 5kg 감소하였으며, 혈액 검사상 저단백혈증(T-protein 5.2, albumin 2.8)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 상태가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정 및 간호계획을 수립하였다. 단기 목표로는 "대상자는 4일 이내 식이를 모두 섭취한다"를, 장기 목표로는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키에 맞는 정상체중을 유지한다"로 설정하였다.
간호계획으로는 ① 대상자의 식이섭취 양상 사정, ② 구강 섭취 격려, ③ 영양 섭취의 중요성 교육 등을 수립하였다. 이론적 근거로는 활력징후와 증상이 식욕에 미치는 영향, 영양 부족 시 초래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간호중재 결과, 대상자는 4일 만에 식이를 모두 섭취할 수 있게 되었으며, 퇴원 시까지 정상 체중을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 및 장기 목표가 모두 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대상자의 잦은 설사로 인한 식이 섭취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문제를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객관적 자료를 면밀히 사정하고, 이에 기반한 간호목표와 계획, 중재를 수립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2. 피부손상 위험성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대변 내 효소와 소변 내 요소로 인해 피부가 손상되기 쉽고,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습윤 환경에서 피부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게 된다.
특히 설사 환자의 경우 배변 횟수가 잦고 배변 양...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1, 현문사, 제4판,2020, p.222,258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2, 현문사, 제4판, 2020, p.145,146,148,206.208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