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대상 및 방법
대상자는 2023년 8월 27일에 입원한 김○○(F/41세)님으로 재태기간 40+6주로 초산부이다. 22년도에는 LEEP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자궁경부 환상 원추 절제술), 23년에는 Mcdonald op (자궁경부결찰술)를 본원에서 받았었다. 진통이나 양수흐름 없었으며, 8월 27일 정기검진 시 초음파상 양수량이 줄어 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를 진단받고 C/sec(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돕기 위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간호진단을 세워 간호를 제공하였고,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양수과소증
2.1.1.1. 정의 및 원인
양수과소증(Olighydramnios)은 임신 중 양수량이 정상보다 현저히 감소한 상태를 말한다. 임신 말기의 정상적인 양수의 양은 800~1200mL인데 자궁 내 양수량이 500mL 이하로 감소한 경우를 양수과소증이라고 정의한다. 양수과소증은 임신 초기에는 드물지만 임신 말기에 자주 발생하며, 임신 41주에는 약 12~25% 정도의 발생률을 보인다.
양수과소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첫째, 태아의 요로계 이상으로 인한 소변량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다. 신장 형성부전, 요로폐쇄 등의 태아 요로계 문제로 태아가 충분한 소변을 생성하지 못하면 양수량이 감소한다. 둘째, 태반 기능부전이나 자궁 내 성장지연 등의 태아 측 요인으로 태아가 충분한 양수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셋째, 양막 누출이나 조기 양막파수 등에 의해 양수가 유출되어 과소해지는 경우이다. 넷째, 임부의 고혈압, 당뇨, 임신중독증 등 고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에도 양수과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임신 지연, 임부의 혈액량 감소나 탈수 상태 등도 양수과소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종합하면, 태아의 요로계 이상, 태반과 모체의 기능 저하, 양막 결손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양수량이 정상보다 감소하여 양수과소증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2.1.1.2. 병태생리
양수과소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양막파열로 인한 양수손실이나 태아 요로폐쇄 또는 신장결손증, 신장 무발생으로 양수 생성의 감소가 일어나면 양수과소증과 태아압박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도공 얼굴(Potter facies), 태아성장 부족, 폐형성 저하증, 둔위, 사지결손 등의 2차성 기형과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양막이 파열되거나 태아의 신장이나 요로계에 이상이 있어 정상적인 양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양수량이 부족해지게 된다. 그 결과 태아가 자궁벽에 과도하게 압박되면서 근육과 뼈의 기형, 발육 지연 등의 문제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2.1.1.3. 증상 및 문제점
양수과소증의 증상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양수가 줄어들면서 배의 크기가 작아지며 체중이 늘지 않는다. 이는 태아의 몸이 자궁벽에 닿아 근육과 뼈에 기형이 생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태아의 자유로운 운동에 제한이 있어 발육에 지장을 받는다. 양수량이 부족하여 태아의 피부가 건조하고 가죽처럼 질기게 된다. 태아의 폐운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폐가 미성숙해질 수 있다. 태동이 불충분하여 양막이 태아에게 유착되고 양막대로 인해 사지절단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양수과소증이 태반기능부전에 의한 만성 저산소증의 결과라면 만기 태아심박동감소를 나타낸다. 분만이 지연되며 태반의 조기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양수태변착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태아질식이나 산증을 반영할 뿐 아니라 신생아에게 태변흡인성 폐렴과 신경계 후유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2.1.1.4. 진단
양수과소증의 진단은 임신 기간 중의 임신 주수와 양수과소증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생체지수를 측정하고 양수량, 태아기형, 발육부전, 요로폐쇄, 신장 무발육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양수 검사와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여 태아의 기형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양수지수(Amniotic fuluid index, AFI)를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만삭 임신에서 평균 양수지수는 12.5cm이며, 경계수치일 경우 다시 측정해야 한다"" 양수과소증은 양수지수가 5cm 이하, 양수과다증은 24cm 이상으로 정의된다""
2.1.1.5. 치료 및 간호
양수과소증의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없지만, 태아의 안녕 상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필요 시 조기 분만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초음파와 무자극검사(Non-Stress Test, NST) 등을 통해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한다. 양수지수(Amniotic Fluid Index, AFI)가 5cm 이하인 경우 임신 주수와 상관없이 즉시 분만을 유도해야 한다. 적절한 분만 시기를 결정할 때는 만성 저산소증의 악화와 탯줄압박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태아 사망을 예방하는 것이 중점이 된다.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