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감염관리 현황 및 활동
1.1. 감염관리 체계
1.1.1. 감염관리 위원회
감염관리 위원회는 병원 내부에 설치되어 병원 감염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활동을 총괄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0000병원의 감염관리 위원회는 정기회의를 연 00회, 수시회의를 연 00회 진행하며 감염관리 규정 개정, 감염관리 사업계획 수립, 손위생 수행률 모니터링, 다제내성균 발생 현황 관리 등의 의안을 심의하고 의결한다.
감염관리 위원회는 감염관리실의 활동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감염관리실에서 제시한 정책과 사업계획을 심의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한다. 감염관리실에서 마련한 손위생 수행률 모니터링 결과와 다제내성균 발생 현황 등의 감염관리 지표를 정기적으로 보고받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여 감염관리 활동의 방향을 결정한다.
또한 감염관리 위원회는 결핵 의증 환자 발생 등 긴급한 상황 발생 시 임시회의를 소집하여 신속한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이처럼 감염관리 위원회는 병원 내 감염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을 총괄하는 핵심 기구로 작용하고 있다.
1.1.2. 감염관리실 운영
감염관리실은 병원 내 감염관리 업무를 전담하여 수행하는 부서이다. 0000병원의 감염관리실은 감염관리의사 및 실장(겸임), 감염관리간호사(전담), 의료기관장이 인정하는 자(겸임) 총 3명의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염관리실은 감염관리위원회의 활동, 감염관리 사업의 연간 계획 수립·시행·평가, 감염관리 규정의 제정 및 개정, 의료관련감염 감시, 감염관리 자문 및 상담, 감염관리 교육 실시, 직원 감염관리, 법정 감염병 관리, 감염병 유행관리, 감염관리 개선활동, 환경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감염관리실 운영을 통해 0000병원은 감염관리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1.2. 감염 감시 활동
1.2.1. 주요 원내 감염 발생 현황
0월 전체 원내 감염 건수는 00건 발생하였으며, 이 중 외과 병동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