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독일의 대표적인 시인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는 1749년 8월 28일 마인 강변에 있는 프랑크푸르트 자유시에서 유서 깊은 명문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25세 때 발표된 그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일약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전 유럽을 휩쓸며 유행을 불러일으켰고, 나폴레옹이 7번이나 탐독하였다는 일화를 남기기도 하였다. 괴테는 이후 바이마르로 향하여 아우구스트와 합심하여 독일 역사상 유례없는 문화적 융성을 이룩하게 된다. 이곳에서 그는 《이피게니에》와 같은 대표적인 고전주의 문학을 집필하게 되며, 실러와의 우정을 통해 독일 고전주의를 이끌어나가게 된다. 괴테는 평생에 걸쳐 문학, 예술,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천재적인 인물이었으며, 그의 대표작 《파우스트》는 그의 삶과 사상이 집약된 심오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 백년전쟁
2.1. 백년전쟁의 과정
백년전쟁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3세기 말, 중세 유럽은 생산성 감소와 경제 침체의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 무렵 잉글랜드 왕국은 프랑스의 일부 영토를 점유하고 있었는데, 이에 대해 프랑스 국왕은 잉글랜드 국왕의 신하 지위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1337년부터 1453년까지 116년간 벌어진 프랑스 왕국의 발루아 가와 잉글랜드 왕국의 플랜태저넷 가 사이의 분쟁이 바로 백년전쟁이다.
백년전쟁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1337년에서 1360년은 에드워드 전쟁, 1369년에서 1389년은 캐롤라인 전쟁, 1415년에서 1453년은 랭커스터 전쟁으로 이루어졌다. 백년전쟁은 유럽사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군사 분쟁이었다.
전쟁 초기에는 봉건 귀족들의 영지 확장 목적의 전형적인 봉건 전쟁의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전쟁 중 양국의 국민의식이 고양되면서 국가 간 전쟁의 성격으로 변모하였다. 당시 농민들은 도주하거나 반란을 일으켰고, 도시에서는 길드 간 대립이 발생하는 등 사회 갈등이 심화되었다. 또한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급감하는 등 큰 혼란을 겪었다.
프랑스가 절박한 위기에 놓였을 때 잔 다르크의 등장은 민족의식을 크게 고취시켰고, 샤를 7세 구출과 프랑스의 승리로 이어졌다. 그러나 잔 다르크가 권력을 가지려는 것을 반대하는 세력에 의해 마녀로 몰려 처형당하게 된다.
백년전쟁의 말기에는 상비군이 등장하여 봉건 군대를 대체하게 되었고, 귀족들의 역할도 축소되었다. 동시에 새로운 무기와 전술이 등장하면서 포병의 중요성이 커졌다. 전쟁 결과 프랑스에서는 내전과 역병, 기근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한 반면, 중앙집권화된 왕권이 강화되었다. 잉글랜드도 백년전쟁과 장미전쟁을 겪으면서 강한 왕권이 등장하였다. 가장 중요한 점은 양국 국민들의 조국에 대한 자부심과 민족의식이 크게 성장했다는 것이다.
2.2. 백년전쟁의 성격
백년전쟁의 성격은 시기와 양상에 따라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봉건 귀족들의 영지 확장을 위한 전형적인 봉건 전쟁의 성격을 보였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양국 국민들의 국가 의식이 고양되면서 국가 간 전쟁의 성격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전쟁의 초기에는 농민들이 도주하거나 반란으로 맞섰고, 도시에서도 길드의 문호를 폐쇄하려는 주인과 이에 반발하는 직인들 간의 대립 등으로 사회적 갈등이 벌어졌다. 이때 유행했던 흑사병으로 인해 인구가 3분의 1 가까이 감소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위기에 처한 프랑스에 등장한 잔 다르크는 민족의식과 사기를 크게 고취시켰고, 샤를 7세를 구출하여 프랑스의 승리로 이끌었다. 그러나 잔 다르크에 반대하는 세력에 의해 마녀로 몰려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백년전쟁은 전쟁 말기로 갈수록 봉건 군대가 상비군에 의해 대체되었다. 또한 전쟁에서의 귀족들의 역할도 무기와 인력에 의해 줄어들었다. 이처럼 전쟁의 양상이 변화하는 가운데 양국의 평민들에게서 국민의식이 싹트게 되었다. 나아가 새로운 무기와 전술들이 도입되었고, 포병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결과적으로 프랑스와 잉글랜드 양국에서 중앙집권화된 강력한 왕권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백년전쟁 이후 양국이 겪은 내전과 역병, 기근 등의 극심한 혼란을 수습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무엇보다도 백년전쟁의 핵심은 전쟁을 거치면서 양국 국민들이 자국에 대한 자부심과 민족의식을 높이게 되었다는 점이다.
3.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3.1.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의 관계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72년을 재위한 루이 14세, 네 살에 왕위에 오른 루이 15세, 이어서 왕위에 오른 루이 16세의 사치와 권력을 유지하기 급급한 구체제, 열악한 경제환경이 맞물리면서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