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달검사 개요
1.1. Denver Ⅱ 검사의 정의
Denver Ⅱ 검사는 발달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해 고안된 발달 선별 검사이다. 만 2주부터 6세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개인-사회성, 미세운동-적응, 언어, 전체운동의 4개 영역 총 12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의 수행능력을 같은 연령대의 다른 아동과 비교하여 발달 지연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이 검사는 지능 검사가 아니며, 이후의 적응 또는 지적 능력에 대한 명확한 예측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다만, 발달 지연이 의심되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여 추가적인 정밀검사와 치료적 중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1.2. Denver Ⅱ 검사의 목적
Denver Ⅱ 검사의 목적은 발달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여 평가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검사는 생후 2주부터 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아동의 수행능력을 같은 연령대의 다른 아동과 비교하여 고위험군 아동을 추적 관찰하고 학령 전기 아동의 발달지연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즉, 발달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여 신속한 중재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enver Ⅱ 검사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Denver Ⅱ 검사 방법
2.1. 검사 대상
Denver Ⅱ 검사의 대상은 만 2주 ~ 6세의 영유아이다. DDST Ⅱ(Denver Developmeatal Screening Test - Ⅱ)는 발달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 평가하고, 평가받는 아동의 수행 능력을 같은 연령대의 다른 아동들과 비교하여 고위험군 아동을 추적 관찰하며, 학령 전기 아동의 발달지연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Denver Ⅱ 검사의 대상은 생후 2주부터 6세까지의 영유아로, 발달장애의 위험이 있거나 발달지연이 의심되는 아동들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된다고 볼 수 있다.
2.2. 검사 영역 및 항목
Denver Ⅱ 검사 영역 및 항목은 크게 개인-사회성 발달, 미세운동-적응 발달, 언어발달, 전체운동 발달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사회성 발달 영역은 일상생활 동작, 타인과의 상호작용 등을 평가하며,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얼굴을 본다, 어르면 웃는다, 자신의 손을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