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갑상선기능항진증 개요
1.1. 갑상선의 구조와 기능
갑상선은 목의 앞부분 정중앙에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띠근육의 뒤쪽, 후두와 기관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내분비 기관이다. 정상 성인에서는 약 20g 전후의 무게를 가진 적갈색 조직으로 좌우에 엽이 있고 가운데가 연결된 나비 모양의 기관이다. 갑상선은 갑상선호르몬과 칼시토닌, 두 가지 호르몬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요오드는 갑상선호르몬의 원료이며, 갑상선호르몬은 인체의 거의 모든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정상범위를 벗어난 갑상선호르몬의 분비는 질병을 유발한다. 갑상선호르몬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촉진하며, 신진대사 작용을 통해 뇌, 고환, 비장을 제외한 인체 조직세포에서 산소를 소모하여 열생산을 증가시켜 모든 세포의 대사율을 조절한다. 또한 성장과 발달, 심장운동과 위장관 운동을 자극하며, 비타민 대사작용에도 관여한다. 마지막으로 칼시토닌은 뼈에서 칼슘유리를 억제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감소시킨다.
1.2. 그레이브스병의 정의 및 원인
그레이브스병은 병인을 알 수 없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광범위한 갑상선비대와 갑상선호르몬 과잉분비가 특징이다. 그레이브스병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환자의 혈중에서 갑상선 자극물질이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이 물질들이 IgG이므로 갑상선에 대한 항체라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 자극 작용을 갖는 갑상선 자가항체에 의한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이라고 밝혀지고 있다. 그레이브스병은 우리나라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들의 80~90%를 차지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이며, 이 외에도 뇌하수체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는 종양이나 갑상선 호르몬에 대해 뇌하수체의 선택적 내성을 보이는 경우, 갑상선 호르몬 분비조절능력 부족,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1.3. 그레이브스병의 일반적 증상
그레이브스병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피로감, 전신권태, 더위를 심하게 탐, 미열, 체중감소, 안구돌출증 등을 들 수 있다.
안구돌출증은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약 30% 내외에서 나타나는데, 한국인의 경우 서구인에 비해 안구돌출증이 심하지 않은 편이다. 안구돌출증과 함께 안검퇴축, 놀란 듯한 눈동자 모습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레이브스병 환자들은 피부병증 증상으로 정강뼈 앞부분이 약간 융기되어 오렌지 껍질 모양으로 변형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 함께 손바닥이 따뜻하고 축축하며, 모발이 가늘고 부드러워지며 피부가 얇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더불어 대사율 증가로 인해 기초대사율 증가, 식욕증진, 체온상승, 더위에 견디지 못하는 증상, 체중감소,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리적으로는 주의집중기간 감소, 안절부절못함, 불안정, 조증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4. 진단 및 검사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진단은 대상자의 증상과 징후,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첫째, 대상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확인한다. 전형적인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증상으로는 피로감, 전신권태, 더위에 예민함, 체중감소, 설사, 불안 및 초조감 등이 있다. 또한 안구돌출, 안검후퇴, 안구건조증 등의 안과 증상도 확인한다.
둘째, 혈액검사를 통해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확인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경우 TSH 수치는 낮고 free T4, total T3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항 TSH 수용체 항체 검사 등 갑상선 자가항체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셋째, 영상검사인 갑상선 스캔을 통해 갑상선의 형태, 크기, 모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는 갑상선 섭취율 증가와 갑상선 비대 소견이 관찰된다.
이와 같이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진단은 다각도의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1.5. 치료 방법
1.5.1. 약물 요법
약물 요법은 그레이브스병 환자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들은 과다한 갑상선호르몬으로 인한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약물 치료를 받는다. 대표적인 항갑상선 약물로는 propylthiouracil(PTU)와 methimazole, carbimazole 등이 사용된다. 이들 약물은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을 억제하여 혈중 갑상선호르몬 농도를 정상화하는 데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