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상담및치료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2.1. 주요 개념
2.1.1. 자아존중감
2.1.2. 역기능적 의사소통
2.2. 치료 목표
2.3. 치료기법
2.3.1. 원가족 도표
2.3.2. 가족 조각
2.3.3. 은유의 사용
2.3.4. 명상의 활용
3. 현숙씨와 성철씨 사례 적용
3.1. 원가족 도표 활용
3.2. 가족 조각 기법 적용
3.3. 가족 규칙 재정립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은 각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으로, 가족 구조와 관계는 가족의 건강과 문제 해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가족상담 및 치료에서는 다양한 이론과 기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은 주요 개념과 기법을 통해 가족 시스템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게슈탈트의 치료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인간의 성장 잠재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존중하며, 자아 가치와 성숙 및 성장을 중시한다. 또한 자발성과 자유, 창의성, 현재에 초점을 맞추는 특징이 있다. 이런 경험적 가족치료는 상담 현장에서 가족과 상담자 사이에서 경험하는 상황과 느낌을 중시하고, 이를 가족이 공유하면서 현재의 충만함을 경험함으로 치료적 변화가 촉진되어 가족이 성장한다고 본다.
2.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2.1. 주요 개념
2.1.1.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 개념 중 하나로, 개인이 자신을 바라보는 긍정적인 태도와 느낌을 의미한다.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이 중요한 치료 과정이라고 본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유일성과 동질성, 그리고 자기 수용력으로 설명될 수 있다. 유일성은 각자만의 고유한 특성을 인정하는 것이며, 동질성은 다른 이들과 공유하는 보편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자기 수용력은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속성들이 자아존중감의 기반이 된다.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주로 원가족에서 학습되고 발달한다고 본다.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내에서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며, 그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방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족 체계 내에서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치료의 핵심목표가 된다.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표는 단순히 개인의 증상 감소나 사회적 적응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적 통합과 선택의 자유, 가족 구성원 간의 욕구와 감정에 대한 자각 등 개인과 가족의 전반적인 성장에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아존중감을 강화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선택권을 갖도록 돕는다.
이러한 자아존중감의 향상은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자각하고 이를 가족과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족 전체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는 데 기여한다. 결국 경험적 가족치료에서 자아존중감은 개인과 가족의 통합적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1.2. 역기능적 의사소통
역기능적 의사소통이란 가족 구성원 간의 서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갈등을 유발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의미한다.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서는 가족 간 의사소통 부재나 오해가 갈등과 문제의 근본 원인이 된다고 보며,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
참고 자료
최연실·기쁘다·성미애(2020). 가족상담 및 치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기쁘다(2021). 가족상담 및 치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방송강의 8강.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 치료에 나타난 영성, 이미영,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5
가정공동체 회복을 위한 ‘가족치료이론’활용방안 연구, 김수만,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2009
가족의 이해와 가족치료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박미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