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음양오행설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풍수지리의 이해
1.1. 풍수지리의 개념
1.2. 풍수지리의 사상적 배경
1.2.1. 지모사상
1.2.2. 삼신오제사상
1.2.3. 주역과 음양오행 사상
1.3. 풍수지리에 대한 현재 인식
1.4. 풍수지리의 미래 방향
2. 음양오행의 이해
2.1. 음양오행의 정의
2.2. 음양설과 오행설의 기본내용
2.3. 음양의 특성
2.3.1. 음양의 원리
2.3.2. 음양의 부조화
2.4. 오행의 개념과 특성
2.5. 음양과 오행의 관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풍수지리의 이해
1.1. 풍수지리의 개념
풍수지리는 땅에 대한 깨달음과 자연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조상들이 만들어온 삶의 지혜이다. 풍수는 우주적 환경의 흐름인 기(氣)를 따르며 기후나 지리와 같은 환경요인과 인간의 거주환경 조화를 이루는 것에 관심을 둔다. 좁게는 주거의 입지 선택이라 보지만 넓게 보면 인간과 환경의 관계 설정 방식을 설명하는 것이 풍수지리이다. 기본적으로 풍수라고 하면 자연현상 중 바람과 물의 운행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좋은 땅을 구별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데 해를 입지 않고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런 풍수지리로는 우주의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한다고 가정하고, 땅의 변화 현상을 오행과 풍수 이론에 따라 해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조상들은 묫자리를 정할 때 땅이 생기가 흐르며 충만한 곳을 찾아 안장하여 영혼이 편안히 쉴 수 있게 하는 것이 후손들이 평온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은 것이다.
1.2. 풍수지리의 사상적 배경
1.2.1. 지모사상
지모사상이란 땅은 모든 경제 활동의 바탕이 되며, 경제적, 사상적으로 사람들과 가장 밀접해 있다는 사상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땅에 대한 애착이 큰 특이점을 보인다. 과거 사회조직의 기반이 된 땅은 인간관계의 매개로 이루어지며, 재산평가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한국의 사회 문화적 전통과도 이어져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모 사상은 세상 모든 만물은 땅을 벗어날 수 없으며 인간은 땅에서 태어나 땅으로 돌아간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중국의 음양오행설과 결합해 입지에 대한 체계적 학문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런 사상을 인간으로 적용하면 음양의 결합체로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으로 돌아간다. 탄생의 과정에서 부모의 음양 조합에서 잉태된 뒤 양기를 바탕으로 살아가지만, 양기가 쇠퇴하고, 생을 마감하며 음인 땅으로 돌아간다. 이처럼 지모사상은 땅과 어머니를 동일시 하며 인간이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것처럼 늙으면 고향을 그리워하며 고향 땅을 안식처로 여긴다. 여러 나라에서 이런 생각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런 지모 사상이 특히나 많은 부분을 지닌다.
1.2.2. 삼신오제사상
삼신오제사상은 한국에서 아이가 태어나면 삼신께 감사를 드리고, 사람이 죽으면 삼신을 통해 하늘로 돌아간다고 여겼다. 이처럼 생명체를 이루고 분해하는 힘을 삼신이 가지고 있다 여기고 유교의 현실 세계, 불교의 마음, 영혼의 세계, 신선 사상의 인간과 영혼의 합일 사상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오제는 하늘의 작용을 돕는 다섯 신으로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다. 이는 동, 서, 남, 북, 중앙의 각 위치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데서 시작한다. 삼신오제는 자연의 변화원리, 역의 이론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특히 한국의 삼신오제사상이라 하면 인간 존재를 천, 지, 태의 3원소와 관련해 해석한다. 즉 인간의 자연 일부로 보고 자연의 숭...
참고 자료
최창조, 새로운 풍수이론, 민음사, 2009, p28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1999, p20~21
오성탁, 한국전통정원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현대적 응용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부동산 대학원, 2012, 국내석사
신영대, 풍수지리학 원리, 경덕, 2004, p31~32
심재열, 풍수사상의 입지선정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2010, 국내박사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도서출판 서울, 일빛, 2001
심재열, 풍수사상의 입지선정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2010, 국내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