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ca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환자 자가통증조절법(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2.1. PCA의 정의
2.2. PCA의 목적
2.3. PCA의 장점
2.4. PCA에 사용되는 약물
2.5. PCA 사용 시 주의사항
2.6. PCA의 종류
3. PCA 간호
3.1. 대상자 사정
3.2. PCA 사용에 대한 교육
3.3. PCA 수행 점검
4. 000병원 PCA 적용 사례 및 분석
4.1. 임상 사례
4.2. PCA 사례 관찰 내용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의료기술의 발전 및 생명연장에 대한 기대의 증가로 수술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술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이들의 수술 후 회복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는 오늘날 수술환자 간호의 주요 관심분야가 되고 있다. 통증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불유쾌한 경험이다(The Korean Pain Society, 2000). 수술 후 통증은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신체상태 악화, 심리적 불편감 유발, 만성통증으로 발전하는 등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이희선 외. 2008). 수술 후 통증관리는 환자의 회복력, 기동성과 수술로 인한 기능적 요구들을 원활하게 해 줌으로써 환자의 예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기 때문에 수술 후 치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Argott. 2013). 수술 후 적절한 통증관리는 환자의 통증 및 통증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경감시키고 심리적 안정과 정상적인 생리기능의 회복을 촉진하여 조기 퇴원을 가능하게 하며 사망률과 유병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Kehlet, 1989) 수술 후 통증을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하는 것은 수술환자 간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2. 환자 자가통증조절법(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2.1. PCA의 정의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는 통증이 있을 때마다 정맥이나 경막외강으로 설치된 통증 자가 조절장치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는 통증 관리의 안전한 방법이다.
즉, 환자가 필요할 때 스스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통증을 완화하고 스스로 통증을 조절한다는 만족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통 수술 후 2~3일 정도 착용하게 된다.
2.2. PCA의 목적
PCA의 목적은 통증을 즉시 조절하고, 대상자 스스로 통증 조절이 용이하며, 통증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수술 후 통증은 기침과 가래 배출을 어렵게 하여 폐렴, 무기폐 등의 호흡기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PCA를 통해 대상자가 필요할 때마다 즉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흡 기능의 저하를 예방하고 조기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대상자가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어 독립성을 증진시키고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진통제 투여를 지연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즉시 투여할 수 있어 진통제의 과량투여에 따른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
즉, PCA의 목적은 통증을 즉시 조절하여 호흡기 합병증 등 통증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대상자 스스로...
참고 자료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상. 제8판. 서울:현문사:2021.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 제8판. 서울:현문사:2021.
이희선, 안지혜(2008). 간호사와 환자에게 제공된 수술통증관리 교육이 수술 후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4(2), 5-17
박미현. "간호사의 자가통증조절기(IV-PCA)사용과 관리에 대한 지식 및 활용실태." 국내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6. 대전
Argoff, C. E. (2013). Topical analgesics in the manage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 Mayo clinic proceedings, 88(2), 195-205
Kehlet, H. (1989). Surgical stress: The role of pain and analg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63, 189-195.
The Korean Pain Society. (2002). Textbook of pain medicine. Seoul: Koon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