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 신부전 대상자 간호
1.1. 대상자 소개
대상자 이름은 이**이며, 65세의 여성 환자이다. 체중은 57kg, 신장은 158cm이며, 활력징후는 160/90-98-36.6-24-(94)이다. 2년 전 CRF(만성 신부전)을 확진 받았으며, 현재 CRF 4단계로 진행 중이다. CRF 4단계는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29%로 심하게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1.2. 간호중재 시 고려할 점
1.2.1. 식이요법 교육
만성 신부전 대상자에게 식이요법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신장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칼륨, 인, 나트륨 등 체내 전해질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
식이요법 교육의 주요 내용은 저칼륨 식이, 저인산 식이, 저나트륨 식이이다. 저칼륨 식이의 경우 콩나물, 배추, 무, 파, 양파, 당근, 깻잎, 풋고추, 단감, 연시, 사과, 자두 등을 권장하고 양송이, 쑥, 늙은호박, 부추, 토마토, 참외, 곶감, 바나나, 견과류 등은 피하도록 한다. 저인산 식이는 유제품, 육류, 닭고기, 생선, 콩과 식물, 견과류, 씨앗 등을 권장한다. 나트륨 섭취량은 하루 5g 이하로 제한하며, 염분 섭취를 줄이기 위해 향신료 첨가나 L-글루탐산암모늄으로 만든 소금 대체품 사용을 권장한다."이처럼 만성 신부전 대상자에게는 식이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식이요법 교육을 통해 체내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고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가족에게 구체적인 식단 정보를 제공하고, 식이 이행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영양사와의 협력을 통해 영양 관리를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만성 신부전 대상자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2. 투석 관리
만성 신부전 대상자에게 투석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투석은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생명을 연장시켜주는 필수적인 신대체요법이다.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의 두 가지 투석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투석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막투석은 투석액이 복강 내로 주입되어 확산과 삼투를 통해 혈액 내 노폐물과 수분이 배출되는 방식이다. 환자 스스로 집에서 시행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투석액이 혼탁하거나 깨끗하지 않을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복막투석을 받는 환자는 수분 및 전해질 이상, 산증, 칼륨 이상, 뼈 질환 등의 부작용과 합병증에 주의해야 한다.
혈액투석은 혈액을 체외로 순환시켜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투석실에서 시행되며 간호사의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혈액투석 환자 역시 혈압상승, 심장에 무리, 뼈 질환 등의 부작용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합병증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에게 투석 방법과 주의사항을 상세히 교육하여 투석 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환자가 투석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지지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투석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타 부서와의 네트워크
1.3.1. 주치의
주치의는 만성 신부전 대상자의 의료 담당 책임자로서 주체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행하고 팀에 지시하여 대상자의 건강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성 신부전 대상자는 CRF 4단계를 확진 받고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와 담당의와의 상의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