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근종
1.1. 개요
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이다. 이 자궁근종은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가 가지고 있으며, 인종상으로는 흑인이 백인보다 많으며 유색인종에서 빈발하는 경향이 있다. 자궁근종은 30~40세에 많이 발생한다. 폐경 이후에는 대개 크기가 줄어들고, 새로운 근종의 발생은 드문 편이다. 종양이 지속되면 폐경기 후에도 발견되기도 한다.
1.2. 병태생리
1.2.1. 원인
자궁근종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추정설이 있다"" 첫째, 유전인자와 관련된다는 유전설이 있다. 자궁근종이 흑인 등의 유색인종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한다"" 둘째, 지속적으로 상승된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성장에 관여한다는 호르몬설이 있다. 자궁근종은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잘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발생이 드물며, 특히 폐경기 이후엔 근종의 크기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한다"" 셋째, 자궁의 근육층에서 미성숙한 근세포가 생기며, 이것이 지속적으로 에스트로겐의 자극을 받아 근종으로 발육한다는 Cell nest설이 있다""
1.2.2. 위험요인
자궁근종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40세 이상인 경우이다. 자궁근종은 주로 가임기 여성에게 발생하며, 30~4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궁근종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둘째, 가족력이 있는 경우이다. 자궁근종 환자의 일부에서는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이 있는 가족구성원이 있다면 자궁근종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셋째, 임신 경험이 없는 여성이다. 임신 경험이 있는 여성에 비해 임신 경험이 없는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 위험이 더 높다.""
넷째, 비만한 여성이다. 비만은 체내 에스트로겐 농도를 높여 자궁근종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다섯째, 흑인 여성이다. 인종에 따른 차이가 있어 흑인 여성의 자궁근종 발병률이 백인 여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폐경된 여성, 장기간 피임약을 사용한 경우, 그리고 5회 이상 임신을 경험한 경우에는 자궁근종 발생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증상
1.3.1. 주요 증상
자궁근종의 주요 증상은 월경 이상, 골반통, 압박감 등이다. 월경 과다 등을 포함한 월경 이상은 자궁근종과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이며, 특히 점막 하 근종이 있는 경우에 월경 과다가 흔하다. 월경 양이 많아지고 월경 기간이 길어진다. 간혹 생리 주기가 아닐 때에도 출혈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흔하지는 않지만 골반통과 골반을 누를 때의 통증 역시 자궁근종의 증상일 수 있다. 거대근종(250g 이상)으로 인한 주위조직 압박으로 인해 빈뇨, 배뇨곤란 등의 압박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자궁근종은 월경 이상, 골반통, 압박감 등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1.3.2. 전신증상
자궁근종은 다양한 전신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근종으로 인한 월경과다는 만성 빈혈증을 일으켜 두통, 무기력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대량 출혈로 인해 과잉 혈소판 생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는 거대한 자궁근종이 동맥과 정맥 간의 문합 역할을 하여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처럼 자궁근종은 월경과다, 빈혈, 혈액응고 장애 등 다양한 전신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1.4. 진단
자궁근종에 대한 진단은 다음과 같다.
자궁근종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갑자기 발생하는 자궁출혈, 월경과다와 하복부불쾌감, 팽만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하복부에서 단단하고 불규칙한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산부인과 병의원에 초음파 검사기기가 비치되어 자궁암 검진 등을 시행할 때 초음파 검사로 우연히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