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씨 무신정권의 붕괴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 무신정권
1.1. 무신정권의 성립
1.2. 최씨 무신정권
1.2.1. 최충헌의 집권과 정권 기반 구축
1.2.2. 최이와 최항의 집권
1.3. 무신정권의 붕괴
1.3.1. 최의 집권과 몰락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려 무신정권
1.1. 무신정권의 성립
고려 무신정권은 의종(毅宗) 24년(1170년)부터 시작되어 원종(元宗) 11년(1270년)까지 약 100년간 지속되었다. 무신정권의 성립 배경에는 무신들에 대한 문신들의 차별이 있었다. 고려 초기 과거제 도입과 능력 중심의 인재 등용으로 지방 호족세력이 약화되고 문벌귀족 중심의 정치구조가 성립되면서, 문신에 대한 무신들의 열등감이 고조되었다. 이에 무신들의 불만이 고조되자 의종 24년(1170년) 보현원 행차 당시 한뢰(韓賴)가 무신 이소응(李紹膺)의 뺨을 때린 것이 발단이 되어 무신들이 난을 일으켰다.
이의방(李義方), 이고(李高), 정중부(鄭仲夫) 등이 계획한 이 무신란으로 의종이 폐위되고 명종(明宗)이 즉위하면서 무신정권이 성립되었다. 무신란 과정에서 많은 문신들이 죽임을 당했고, 조정은 무신들에게 장악되었다. 이 무신정권은 문신 중심의 정치사회체제를 타도하고 무신 위주의 체제로 변혁을 꾀했다는 점에서 당시 일어났던 농민 노비들의 반란과 구별된다.
무신정권 초기에는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慶大升), 이의민(李義旼) 순으로 집권했는데, 이들이 합해 27년간 집권한 시기를 거쳤다. 이의방은 같이 무신란을 주도했던 이고, 채원(蔡元) 등을 제거하고 집권했다. 이의방은 회유책으로 중방(重房)의 권한을 강화하고 하위 무신들에게도 벼슬길을 열어주었다. 하지만 이의방 정권은 김보당(金甫當)의 난과 조위총(趙位寵)의 난으로 위기에 봉착했고, 결국 4년 만에 몰락하게 되었다.
이후 정중부가 집권했지만, 고위 무신들과 하위 무신들 간 갈등이 지속되었다. 정중부는 온건한 입장을 유지했지만 하위 무신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정중부는 1175년 물러났고 1179년 경대승에 의해 제거되...
참고 자료
이다지, 이다지 한국사 : 전근대 편: 흥미진진 스토리텔링으로 한국사 다지기, 브레인스토어, 2015
『高麗史』.
민병하,『한국사』18,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국사편찬위원회, 2003.
「진양부와 정방 및 서방」
이기백,『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박용운,『高麗時代史』下, 「무신정권과 그 사회」, 일지사, 1987.
민현구,『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