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척추동물 해부(쥐) 실험
1.1. 실험 목적
포유류를 대표하여 흰 쥐를 해부하고 내부 기관을 관찰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도구 및 시약
실험 도구 및 시약은 "흰 쥐, 해부대, 해부기 세트, 고정핀, 해부용장갑, 마스크, 에테르, 사각샘플병"이다. 실험에 사용되는 주요 도구로는 해부에 사용되는 도구와 쥐를 마취시키기 위한 에테르와 사각샘플병이 있다. 또한 안전을 위해 해부용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한다.
1.3. 실험 이론
1.3.1. 쥐의 외형적 특징
쥐의 외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쥐는 몸이 머리와 몸통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촉모가 존재한다. 항문은 꼬리의 기부목면에 위치하고 있다. 성별에 따라 생식기의 구분이 가능하다. 다리는 앞다리와 뒷다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꼬리는 엷은 비늘로 덮여 있다.
1.3.2. 쥐의 해부학적 특징
1.3.2.1. 소화계
쥐의 소화계는 입, 인두, 식도, 위, 소장, 맹장, 대장, 직장, 항문으로 구성된다. 위는 창자 중 가장 팽대한 부분으로, 간 밑의 팽대한 부분에 위치한다. 위의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들문(식도와 연결)과 날문(소장과 연결)이 있다. 소장은 길이가 6~7cm 정도로 비교적 긴 관상 기관이며, 위에서 넘어온 미즙에 간에서 생산되는 담즙과 이자에서 분비되는 이자액이 첨가되어 소화가 진행된다. 십이지장은 길이가 약 25cm로 C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내강에 점막주름이 촘촘히 배열되어 있다. 십이지장의 날문 부근에는 샘창자 유두가 있고 이 곳으로 쓸개관과 이자관이 합쳐져 열려있다. 대장은 길이가 약 1.5~1.7m로 소장보다 직경이 크며,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한 영양분과 수분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대장 내 세균에 의한 발효와 분해가 일어난다.
1.3.2.2. 비뇨기계
쥐의 비뇨기계는 콩팥, 요관, 방광, 요도 등으로 구성된다. 콩팥은 배 뒷벽의 척추 양쪽에 붙어 있는 복막 뒤 장기로, 왼쪽 콩팥이 오른쪽 콩팥보다 약간 높이 위치해 있다. 콩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 배설, 수분과 전해질 균형 조절, 적혈구 생성 촉진 등이다. 요관은 콩팥에서 생성된 소변을 방광으로 이동시키는 관이며, 방광은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하는 근육기관이다. 요도는 방광에서 생성된 소변이 체외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이처럼 쥐의 비뇨기계는 정상적인 신체 기능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3.2.3. 심혈관계
심혈관계는 심장과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내 혈액순환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계이다. 쥐의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압은 93~138mmHg, 심장박동은 310~840회/분의 범위를 가진다.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순환하는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각 장기로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수집하여 폐로 보낸다. 심장은 복강 내 중앙에 위치하며, 혈관들이 심장으로부터 뻗어나가 온몸을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체내 모든 장기와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순환계 역할을 수행한다. 쥐의 심혈관계는 인간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이를 연구하는 것은 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1.3.2.4. 신경계
쥐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어 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뉜다.
먼저 중추신경계를 살펴보면, 쥐의 뇌는 대뇌, 소뇌, 중뇌, 간뇌, 뇌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대뇌가 뇌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발달해 있어, 사고, 학습, 기억 등의 고차원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소뇌는 운동 조절과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뇌는 시각 및 청각 반사 작용을, 간뇌는 체온 조절, 호르몬 분비, 감각 정보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뇌줄기는 호흡, 심장 박동, 혈압 등 생명 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척수는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며, 체성 운동 신경과 감각 신경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척수에서 분지되어 내장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연결되어 감각 정보를 전달하고 근육을 움직이는 기능을 한다. 체성신경계는 체성 운동 신경과 체성 감각 신경으로 구성되며,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뉜다. 교감신경계는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반응을 담당하고, 부교감신경계는 일상적인 생리 활동을 조절한다.
이처럼 쥐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물의 생명 유지와 행동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3.2.5. 생식계
쥐의 생식계는 암수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컷 생식계는 고환과 부고환, 정관, 정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환은 정자를 생산하는 기관이며, 부고환은 정자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정관은 고환에서 생성된 정자가 정낭으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정낭은 정액의 일부를 분비하여 정자의 생존과 운동성을 돕는다. 암컷 생식계는 난소, 난관, 자궁, 질 등으로 구성된다. 난소는 난자를 생산하고, 난관은 배란된 난자를 자궁으로 이동시킨다. 자궁은 수정란이 착상하고 태아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질은 외부생식기와 자궁을 연결한다. 이처럼 쥐의 생식계는 암수가 뚜렷이 구분되어 각자의 특화된 역할을 하며, 번식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1.4.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각 샘플병에 에테르를 묻힌 솜을 넣고 그 안에 쥐를 넣어 뚜껑을 닫는다. 이를 통해 마취시킨다. 마취된 쥐를 해부대에 올린 뒤 다리를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해부용 칼로 항문부위에 칼집을 낸 후 해부용 가위로 항문 쪽에서 턱 아래까지 피부를 절개한다. 그 이후 해부용 가위를 사용해서 갈비뼈를 잘라내어 들어낸다. 이를 통해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비뇨생식계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각 기관들을 절단해 꺼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