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 건물 설정
1.1. 건물 개요
대상 건물은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에 위치한 가상 건물로, 면적은 8m × 8m = 64㎡이며 철근 콘크리트 조 지상 2층 건물이다. 외부 마감은 금속 판넬로 이루어져 있다. 외벽은 두께 150mm의 콘크리트와 200mm의 단열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장은 두께 200mm의 콘크리트와 200mm의 단열재로 이루어져 있다. 창문은 로이 유리로 제작되었으며, 크기는 2.3m × 1m = 2.3㎡이다. 현관문의 크기는 0.9m × 2.1m = 1.89㎡이며, 층고 높이는 2.3m이다. 건물은 방 1(ZONE 1), 방 2(ZONE 2), 거실 및 주방(ZONE 3)의 3개 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존의 면적과 용적은 다음과 같다: ZONE 1(방 1) 17.5㎡, 40.25㎥, ZONE 2(방 2) 10.5㎡, 24.15㎥, ZONE 3(거실 및 주방) 21.375㎡, 49.1625㎥.
1.2. 건물 구조 및 마감
건물 구조 및 마감은 건물의 열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대상 건물은 지상 2층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조 건물로, 외벽은 금속 판넬로 마감되어 있다.
외벽의 경우 THK 콘크리트 150mm에 단열재 200mm가 적용되어 있다. 이는 단열성능이 우수한 외벽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1.2 W/m·K, 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29 W/m·K로 단열재가 콘크리트에 비해 매우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어 열손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천장의 경우 THK 콘크리트 200mm에 단열재 200mm가 적용되어 있어 외벽과 유사한 수준의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와 단열재의 열저항 크기를 고려했을 때 천장부 열손실 또한 잘 차단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창호는 로이유리를 사용하여 열관류율이 1.0 W/m²·K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또한 현관문의 열관류율도 0.9 W/m²·K로 창호와 유사한 수준이다. 이를 통해 창호와 출입문을 통한 열손실도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하면 대상 건물은 외벽, 천장, 창호 등의 구조 및 마감재 선정에 있어 단열성능에 중점을 두어 계획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냉난방 부하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냉난방 부하 계산
2.1. 열 관류율 값 설정
열 관류율 값 설정은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계산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제시된 문서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 창문, 지붕, 바닥 등 각 부위별로 열 관류율 값이 명시되어 있다.
먼저, 거실의 외벽에 대해서는 외기에 직접 면한 경우 열 관류율이 0.170 W/㎡·K로 설정되었으며, 외기에 간접 면한 경우 열 관류율이 0.240 W/㎡·K로 설정되었다. 이는 건물의 위치와 용도에 따라 열 관류율 값이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최상층에 있는 지붕의 열 관류율은 0.150 W/㎡·K로 설정되었다. 이는 지붕이 외기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열 관류율 값이 적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층간 바닥의 경우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열 관류율이 0.810 W/㎡·K로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었다. 이는 바닥 난방을 고려한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창문과 문의 경우 외기에 직접 면한 부위의 열 관류율이 1.000 W/㎡·K로 설정되었다. 이는 창호를 통한 열 손실이 크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최하층 거실 바닥의 열 관류율은 0.170 W/㎡·K로 설정되었다. 이는 지붕과 마찬가지로 외기에 직접 노출된 부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열 관류율 값이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각 건물 부위의 열 관류율 값 설정은 건물의 위치, 용도, 난방 방식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최소화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2. 설계 온습도 조건
냉·난방설비의 용량계산을 위한 실내 온·습도 기준은 공동주택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냉방 시 실내 온도는 28℃, 상대습도는 55%로 설정되며, 절대습도는 0.0085kg/kg'이다. 난방 시 실내 온도는 22℃로 설정되며, 상대습도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30~50% 정도로 유지된다. 이때의 절대습도는 약 0.012kg/kg'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냉·난방 설비 용량 계산을 위한 설계 온습도 기준은 냉방 시 실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