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다문화수용성 제고 방안에 관하여 설 명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사회와 정착방안
1.1. 문화 다양성 시대의 다문화사회
1.1.1. 문화 다양성의 개념과 중요성
1.1.2.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안
1.2. 다문화 가족의 현실과 문제점
1.2.1. 결혼이주민의 어려움과 욕구
1.2.2. 다문화 가족의 사회적 적응 및 자립 지원
1.3.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1.3.1. 다문화 가족 지원정책의 내용과 추진체계
1.3.2.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사회와 정착방안
1.1. 문화 다양성 시대의 다문화사회
1.1.1. 문화 다양성의 개념과 중요성
문화 다양성이란 세계 각국에 있는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고양하며 인류의 문화에 다원적 가치를 상호 존중해주는 것이다. 문화 다양성은 인간의 능력과 더불어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풍요롭고 다양한 세계를 창조하며 공동체에 대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원천이 된다. 세계화 시대는 국가 간의 활발하게 교류를 통해 전 세계의 거대한 하나의 지구촌으로 만들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다양한 문화를 접할 기회를 부여함과 동시에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요구하고 있다. 문화 다양성은 여러 주체의 다양성이 인정되며 다양한 문화가 존중받아야 마땅하다. 또한 보편적인 인권과 함께 평등을 실현하며 균형 잡힌 교류를 통하여 사회통합을 강조하고 한 사회 내에서 다양한 문화를 공존할 수 있게 하는 상징적인 가치 체계이다. 문화 다양성은 각각의 민족과 인종의 문화들이 조화롭게 공존하며 상호 협력적인 자세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 다양성은 인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해지는 삶의 토대가 될 수 있다.
1.1.2.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안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안이다.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안으로는 첫째, 다문화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 마련이다. 우리나라의 외국인 정책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통해 이주민에 대한 사회참여와 교육 참여를 확대하는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주민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어 교육과 지원 서비스 등이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제도적 차원과 국민의 인식개선 면에서 큰 차이가 존재하므로 단계적으로 정책과 법체계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
둘째, 다양한 문화와의 사회적 공존이다. 다문화사회에서는 문화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회통합을 확충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문화가 중심이 되어 서로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정해야 한다. 일부 유럽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주의와 문화다양성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사회통합정책과 문화다양성 정책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교육제도와 권리보호 강화이다.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교육은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며, 특히 다문화가족 아동의 경우 언어와 문화, 정체성 등에 대한 ...
참고 자료
김나연,「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2011)
최미영, 「다문화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내외신문(2019). (특집) 우리사회의 다문화 현상 문제점 및 대안
류경란 외 1인(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직욕구. JournalofFamilyandCounseling. 2013,Vol.3,No.1,93-109. 학술논문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학술논문
김혜순(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학술논문
서종남(2010). 결혼이민자 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학술논문
아이굿뉴스(2019). 결혼이주여성 30~40% "도움 요청할 사람 없다"
김정만 저.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정부 보고서. 2017.12. 3~4p
유정균, 김두섭(2017).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통계개발원. Korean Social Trends 2017. 44p
조원탁 외, 2019,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실천 양서원, 이성순 외, 2017, 다문화사회복지론, 양서원,
최명민 외, 2015,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우수명 외, 2015, 다문화사회복지개론
최현미외5, 2008, 다문화 가족복지론, 양서원
여성가족부, 2018.3, 제3차(2018~2022) 다문화 가족정책 기본계획(안)
통계청, 2020.11.5, 2019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보도자료
김민정, 2009, 다문화가족 정책과 방향, 대경(대구경북) 포럼 자료 pp32-40
김유경, 2009.5, 다문화 가족의 실태와 정책방안, pp29-52
김진아, 2009.12,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 정책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허보름, 2014.1, 다문화가족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여성가족부, 2018.3, 제3차(2018~2022) 다문화 가족정책 기본계획(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