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학 개요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적, 화학적, 유전학적, 미생물학적으로 검사하는 학문이다. 질병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환자를 검사한다. 임상병리학의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다.
1.2. 임상병리사의 역할
임상병리사는 의학의 여러 분야를 활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방을 위한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임상병리사는 혈액, 소변, 대변, 조직 등의 검체를 채취하고 이를 물리, 화학, 생물학적으로 분석하여 검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의 진단 및 치료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임상병리사는 임상화학, 혈액학, 생화학, 미생물학, 면역학, 세포유전학 등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 치료과정 모니터링, 예후 판정 등을 돕는다. 이를 위해 혈액 검사를 통한 감염증 진단, 생화학 검사를 통한 간, 신장 기능 평가, 면역학적 검사를 통한 암 진단 등 다양한 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혈액형과 교차반응을 확인하고, 병원체의 배양과 동정을 통해 감염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기도 한다.
나아가 임상병리사는 새로운 진단 기법과 검사법을 개발하고 도입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특히 생명공학, 유전공학 등의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진단 기법을 발전시킴으로써 질병의 조기 진단과 정밀한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보건소와 같은 지역 보건 기관에서 근무하며 지역사회의 건강 증진을 위한 선별검사와 교육 활동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처럼 임상병리사는 의학과 자연과학 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의료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2. 임상병리실 주요 검사 기기
2.1. 채혈 도구
채혈 도구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들이다. 이러한 채혈 도구들은 임상병리실에서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진공채혈관(Vacutainer system)은 채혈 시 사용되는 주요 도구이다. 진공채혈관은 진공이 걸린 상태의 튜브로, 여기에 채혈용 바늘을 꽂아 혈액을 채취한다. 진공채혈관은 항응고제나 기타 첨가제가 미리 들어있어 채혈 즉시 필요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피펫(Pipette)은 정확한 양의 액체를 옮기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특히 마이크로 단위의 미량 검체를 다룰 때 유용하다. 피펫에는 수용(TC, to contain)형과 출용(TD, to deliver)형이 있는데, 수용형은 표시된 눈금까지 액체를 넣을 때의 부피를, 출용형은 배출했을 때의 부피를 나타낸다.
이 외에도 원심분리기, 저울, 시험관 등이 채혈 및 혈액 검사에 사용된다. 원심분리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혈액 내 성분을 분리하고, 저울은 시료의 정확한 질량을 측정하며, 시험관은 검체와 시약의 반응을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이처럼 임상병리실에서는 다양한 채혈 도구와 검사 기기들이 활용되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도출하는 데 기여한다.
2.2. 혈액 검사 기기
2.2.1. HbA1c 검사
HbA1c 검사는 장기간 혈중 '포도당' 농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혈색소의 한 형태이다. 적혈구는 120일 정도의 수명을 가지지만, 당화가 일어난 적혈구의 수명은 조금 짧아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최근 3개월간 혈중 혈당 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정상 HbA1c 수치는 4%~5.9%이며, 이에 따른 평균 혈당 농도는 다음과 같다. HbA1c가 4%일 때 평균 혈당 농도는 65mg/dL이고, 5%일 때 100mg/dL, 6%일 때 135mg/dL, 7%일 때 170mg/dL, 8%일 때 205mg/dL, 9%일 때 240mg/dL, 10%일 때 275mg/dL, 11%일 때 310mg/dL, 12%일 때 345mg/dL이다.
HbA1c 검사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여 최근 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합병증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2.2.2. LDX 검사
LDX 검사는 Lipid, Diabetes, Non-HDL, HDL의 약어로 이루어진 검사이다. LDX 검사는 혈중 지질 성분과 혈당 수준을 확인하는 검사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LDX 검사는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HDL 콜레스테롤(HDL), LDL 콜레스테롤(LDL), 공복 혈당(GLU), non-HDL 콜레스테롤, TC/HDL 비율을 측정한다. 각 항목의 정상범위와 임상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총콜레스테롤(TC): 정상범위 200mg/dL 미만.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중성지방(TG): 정상범위 150mg/dL 미만. 중성지방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췌장염 등의 위험이 있다.
HDL 콜레스테롤(HDL): 정상범위 남자 40mg/dL 이상, 여자 50mg/dL 이상. HDL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춘다.
LDL 콜레스테롤(LDL): 정상범위 100mg/dL 미만. LDL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
공복 혈당(GLU): 정상범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