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기심실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1.1. 조기심실수축
1.1.1. 정의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은 심실에서 기원하는 조기 심장박동이다. PVC는 동방결절(SA node)로부터 정상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도달되기 전에 심실이 정상보다 이른 신호를 보내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조기 신호는 심실근의 전기적인 과민성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심근경색, 전해질의 불균형, 저산소증, 심근증(울혈성 심부전 포함), 지나친 음주, 과도한 카페인 섭취 또는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1.1.2. 특징
조기심실수축은 동성 리듬에 의하여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비정상적으로 전기활동이 발생하여 심실이 미리 수축하는 현상이다. 부정맥 중 가장 흔히 발생하며 심장환자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발견된다. 보통 증상이 없지만 조기 수축 후에 이어 나타나는 정상 수축 시의 박동량 증가로 심계항진, 흉부 불편감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조기 수축 시 박동량 감소로 말초혈류가 감소해 말초맥박이 약해지거나 없어질 수 있다.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 등의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1.1.3. 원인
조기심실수축의 주요 원인으로는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디기탈리스 중독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저산소증, 산독증, 저칼륨혈증과 같은 전해질 불균형, 교감신경 흥분, 미주신경 흥분, 그리고 자극제인 담배, 커피, 홍차, 알코올의 과량 섭취 등도 조기심실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조기심실수축은 심장의 기질적 변화와 관련이 깊지만, 심장의 기질적 변화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디기탈리스 중독과 심근경색 환자에서 자주 나타나며, 이는 심장근육의 전기적 과민성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저산소증, 산도증, 저칼륨혈증과 같은 전해질 불균형 상태에서도 조기심실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교감신경계 및 미주신경계의 흥분으로 인해 조기심실수축이 유발되며, 카페인, 담배, 알코올 등 자극제의 과량 섭취도 조기심실수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1.4. 분류
조기심실수축은 이소성 자극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단소성 심실조기 수축은 심실조기 수축의 모양이 항상 일정한 경우로, 심실조기수축이 한 장소에서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다소성 심실조기 수축은 다양한 형태의 심실조기수축이 관찰되는 경우로, 심실조기수축이 여러 장소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심실조기수축이 3개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심실빈맥이라고 한다. 심실 이단맥은 정상 동성 리듬과 심실조기수축이 각각 1회씩 반복되는 경우이고, 심실 삼단맥은 2회의 정상 동성 리듬 후 심실조기수축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심실 사단맥은 3회의 정상 동성 리듬 후 심실조기수축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R on T 현상은 심실조기수축이 선행하는 QRS군의 T파에 발생하는 경우로, 심실세동이 유발될 수 있어 매우 위험한 상태이다.
1.1.5. 증상
심실조기수축은 심계항진, 목과 가슴의 불편감, 협심증, 저혈압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심실조기수축이 있을 때는 심실의 수축이 정상 리듬보다 이르게 발생하므로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말초혈류가 감소하여 맥박이 약해지거나 없어질 수 있다. 또한 급성 심질환의 경우 심실조기수축이 빈발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의 전구 증상일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심실조기수축 후에는 대상성 휴지기가 생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정상 리듬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져 심장이 평소보다 더 많은 혈액을 내보내게 된다. 이때 심장박동수가 증가하고 심장 수축력이 강해져서 맥박이 부풀어 오르는 느낌이 들거나 심계항진을 느끼게 된다."" 또한 조기수축으로 인한 혈액량 감소로 말초 혈류가 줄어들면 무력감, 어지러움, 협심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1.6. 치료
심실조기수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