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동구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동구매의 개념과 역사
1.1. 공동구매의 정의
1.2. 공동구매의 발전 과정
2. 공동구매의 심리학적 기제
2.1. 사회적 증거가 확실한 것을 선택하려 한다
2.2. 희소한 것은 더 가치가 있다
2.3. 개입을 했으면 일관성을 유지하려 한다
3. 공동구매의 유형과 특징
3.1. 소셜커머스
3.2. 해외오픈마켓
3.3. 지마켓의 신 공동구매
3.4. 은행들의 공동구매 예적금
4. 공동구매의 장단점
4.1. 공동구매의 장점
4.2. 공동구매의 단점
5. 공동구매의 발전 방향
5.1. 공동구매 시장의 동향 및 전망
5.2. 공동구매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동구매의 개념과 역사
1.1. 공동구매의 정의
공동구매란 인터넷 사용의 증가로 인한 전자 상거래의 발전된 한 형태로, 한 상품을 필요로 하는 구매자들이 주축이 되어 물건을 구입할 때 단체로 구입함으로써 대량구매를 통한 차별적인 가격 할인을 통해 기존의 가격보다 저렴하게 구입하게 되는 수단, 즉 소비자가 둘 이상 모여 필요한 물건을 함께 구매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다수의 구매자가 모이기 쉬운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온라인 공동구매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소비자는 물건을 한꺼번에 많이 구입함으로써 개별 구입보다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동구매란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의미를 바탕으로 인터넷 공동구매를 "인터넷상에서 둘 이상의 소비자들이 필요한 제품을 공동으로 구매하는 행위"라고 지칭하며, 공동구매는 "모이면 내려간다"는 명쾌하고 단순한 원리와 동시에 다수의 구매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조합시킨 새로운 형태이다.
1.2. 공동구매의 발전 과정
국내에서 공동구매라는 이름을 빌어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천리안, 하이텔 등 국내 PC통신 동호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해당하는 동호회에서는 동호회의 성격에 맞는 제품을 해당 업체에 회원의 구매를 전제로 가격을 내려 다량 판매를 조건으로 진행해 왔었다. 하지만 그 제품 구성에 있어서는 컴퓨터, 자동차 용품, 카메라 등 일부 상품에 한했으며, 그 파급범위에 있어서는 큰 변화를 주지 못했었다. 이런 흐름들은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쇼핑몰 및 전문몰을 통해 다시 사업모델화 되어 갔으며, 인터넷에 본격적인 공동구매 전문 사이트가 등장하게 되었다. 최초로 공동구매 사이트로 등장한 업체는 1999년3월, 미국 어콤패니(www.mobshop.com)사이트가 오픈 하면서 부터이다. 어콤패니는 제품을 전시해 놓고 구매자가 증가할 때마다 가격이 단계적으로 최대 50%까지 할인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인터넷 사용자들을 자연스럽게 공동구매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에 영향을 받아 국내에선 마이 공구(www.my09.com)를 필두로 지난 해 6월까지 전문 사이트 수가 10여 개로 급증했고, 그 외 대형 쇼핑몰과 포털 사이트에서도 공동구매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이다.
2. 공동구매의 심리학적 기제
2.1. 사회적 증거가 확실한 것을 선택하려 한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미 결정한 선택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사회심리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무엇이 옳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즉, 특별한 상황에서 옳고 그름은 얼마나 많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와 행동을 함께 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하는 대로 행동하게 되면, 즉 사회적 증거에 따라 행동하면 실수할 확률이 줄어든다. 왜냐하면 많은 경우에 다수의 행동은 올바르다고 인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밴드웨건 효과(Band Wagon Effect)로 인해 소비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선택한 것을 따르게 되며, 이는 공동구매를 선택하는 주요한 이유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집단주의 성향이 강해 가족, 이웃, 친구들의 구매 결정에 동조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공동구매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
2.2. 희소한 것은 더 가치가 있다
점점 희귀해져 간다는 것은 점점 이용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이고 이는 그 대상에 대한 선택의 자유도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우리가 이미 누리고 있는 자유가 제한당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갖게 하고 이 특권을 되찾기 위해 행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희소성의 법칙으로 소비자를 유인하는 방법은 수량을 한정하거나 구입시기를 한정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에게 그가 사려고 하는 물건이 구하기 어렵다거나 혹은 한정된 기간 동안에만 살 수 있다는 식의 메시지나 정보를 흘리는 것만으로 그 물건의 가치는 높일 수 있다. 지 마켓 신 공동구매, 소셜커머스 쿠팡 그리고 해외오픈마켓 몰테일 같은 경우는 물건을 한정수량만 제시하고 게다가 기간까지 한정해 둔다. 그래서 '지금 이 가격에 이 제품을 살 수 있는 기회는 지금이다' 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준다.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고 느껴질 때 충동구매 성향이 높다고 하였으며 온라인 공동구매는 기간이 정해져 있고, 가격이 낮으며, 타인이 얼마나 구매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충동경향성은 온라인 공동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참고 자료
네이버 국어사전 http://kin.naver.com/openkr/detail.nhn?docId=24169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00018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link?id=T11036064
소셜커머스랩 http://www.socialcommercelab.com/5
베타뉴스 http://www.betanews.net/article/553040
몰테일 http://post.malltail.com/
지마켓 http://www.gmarket.co.kr/challenge/neo_group_purchase/GroupPurchaseMain.asp
광주매일신문 http://kjdaily.com/read.php3?aid=1321801200233060005
농협 인터넷 공동구매 예 적금 http://blog.daum.net/ijawa88/1993398
한국경제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11131556g&sid=0104&nid=004<ype=1
부산일보 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20000&newsId=20110725000219
한상린, 성형석(2006), 온라인 공동구매에서의 구매 동기와 태도에 관한 연구Shoppers`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the online Group Buying,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제21권 제1호, pp.119-150
황선진, 백소라(2009), 인터넷 공동구매시 충동구매성향과 가격, 희소성 메시지가 의류제품에 대한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mpulse Buying Tendency, Price, and Scarcity Message on Apparel Choice and Purchase Intention at the time of Internet Group Buying,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제33권 제10호 통권192호, pp.1519-1529
최훈, 이경탁(2003), 공동구매 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재수용에 미치는 영향, pp.521
허미경(2007), 개인적 성향과 지각된 공동구매 특성이 온라인 공동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pp.7-9, pp. 9-13
김 선 욱, 박 성 준 단국대학교(2005), B2C 공동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in B2C Cooperative Buying,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유진, "전자상거래에서의 마케팅 믹스", (1999.8)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전자상거래지원센터
안중호, "경영을 위한 정보시스템" (2000.3), 홍문사
안일태, "전자상거래 국가 전략 수립을 위한 분야별 정책연구" (2000.6), 정부 통신 정책 위원회
http://www.hankyung.com
http://www.100hot.co.kr
http://www.etimes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