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성심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환에 대한 소개
1.1. 폐성심의 정의
1.2. 폐성심의 유발 요인
1.3. 폐성심의 병태생리
1.4. 폐성심의 임상증상 및 징후
1.5. 폐성심의 진단검사
1.6. 폐성심의 치료
1.7. 폐성심 간호
2. 자료수집
2.1. 간호사정도구
2.2. 현병력
2.3. 진단적 검사
2.4. 의사의 진단 및 치료계획
2.5. 환자 면담내용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질환에 대한 소개
1.1. 폐성심의 정의
폐성심(Cor pulmonale)은 폐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 폐고혈압으로 인해 우심실의 구조와 기능에 변화가 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호흡기계의 원인으로 발생한 폐고혈압으로 인해 우심실의 비대와 확장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좌심실의 이상이나 선천성 심장질환에 의한 우심실질환은 폐성심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폐성심은 폐고혈압으로 인한 우심실 부담 증가에 따른 우심실 확장 및 비대가 특징이다. 폐고혈압은 폐혈관 저항 증가로 발생하며, 이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간질성폐질환, 폐색전증, 원발성폐고혈압 등 다양한 폐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폐성심은 폐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심장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1.2. 폐성심의 유발 요인
폐성심의 유발 요인은 주로 호흡기 질환과 혈액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호흡기 질환으로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색전증, 간질성폐질환, 원발성폐고혈압 등이 있으며, 혈액질환으로는 다혈구혈증, 겸상세포빈혈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폐의 세동맥 압력을 증가시켜 우심실의 압력을 높이게 되고, 이로 인해 폐성심이 발생하게 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가장 대표적인 폐성심의 유발 요인 중 하나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의 만성염증으로 인해 폐기능이 점점 저하되어 결국 폐동맥압 상승과 우심실 비대 및 부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폐색전증 역시 폐성심의 주요 원인이 된다. 혈전이 폐동맥을 막아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면 우심실의 부담이 증가하여 폐성심이 발생할 수 있다.""
간질성폐질환과 원발성폐고혈압도 폐성심의 유발 요인이 된다. 간질성폐질환은 폐의 간질 섬유화로 인해 폐확산능이 저하되어 저산소혈증을 초래하고, 원발성폐고혈압은 폐동맥의 기능적, 구조적 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폐혈관 저항 증가로 폐성심을 유발한다.""
혈액질환인 다혈구혈증과 겸상세포빈혈 역시 폐성심의 원인이 된다. 이들 질환은 폐혈관의 관류 장애와 저산소혈증을 유발하여 폐동맥압 상승과 우심실 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
요약하면, 폐성심의 유발 요인은 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색전증, 간질성폐질환, 원발성폐고혈압 등의 호흡기 질환과 다혈구혈증, 겸상세포빈혈 등의 혈액질환이다. 이러한 질환들은 폐의 기능 저하와 혈관 저항 증가를 유발하여 결국 우심실의 부담을 가중시켜 폐성심을 초래한다.""
1.3. 폐성심의 병태생리
폐성심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폐의 세동맥 압력이 증가하여 우심실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급성 폐성심과 만성 폐성심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급성 폐성심은 광범위한 폐색전이나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시 기계환기로 인한 손상에서 비롯된다. 이 경우 폐의 세동맥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우심실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심한 폐동맥압 상승으로 우심실의 부담이 증가하여 우심실이 비대해지고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만성 폐성심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이 흔한 원인이며, 광범위한 폐조직 손상, 만성폐색전, 폐정맥폐색질환, 폐의 간질성섬유증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만성 폐질환으로 인해 폐 혈관저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우심실의 압력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만성적인 우심실 압력 증가로 인해 우심실이 비대해지고 확장되며, 최종적으로는 우심부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폐성심은 폐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폐혈관저항이 증가하여 우심실의 부담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우심실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가 초래되는 것이 그 병태생리라고 할 수 있다.
1.4. 폐성심의 임상증상 및 징후
폐성심의 임상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폐성심으로 인해 저산소혈증, 호흡곤란 증가, 분비물이 많은 기침이 나타난다. 대사 및 호흡산증으로 인해 피로, 허약감, 입술의 청색증 등이 관찰된다. 또한 경정맥팽창, 간비대, 우심실비대 등의 징...
참고 자료
유양숙 외(2022), 제8판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송경애 외(2021),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2021),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이은희 외(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https://gaianos.tistory.com/331 (폐성심 이미지)
https://www.druginfo.co.kr/ (드럭인포)
1. 이영휘 외 공저 (2013) 성인간호학Ⅰ, 정담미디어
2. 김금자 외 공저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3. 박정숙 외 공저 (2000) 성인간호학 上·1 , 현문사
4. 최명애 외 공저 (2010) 임상약리학 , 엘스비어 코리아
조경숙 외(2016),성인간호학 상,현문사
김금순 외(2017),성인간호학 1,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폐성심질환 [pulmonary heart disease, 肺性心疾患, corpulmonale]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