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개요
1.1. 대상자 정보
OO님은 70세의 여성분으로, 약 10년 전부터 both knee pain을 겪으셨으며 이를 위해 local에서 po med 및 injection을 받으셨지만 증상이 지속되었다고 합니다. 최근 3개월 전부터 both knee pain이 심해져서 수술을 위해 내원하셨습니다.
OA knee both 진단을 받으시고 TKR Lt. (3/16), TKR Rt. (3/23) 수술을 받으셨습니다. 과거력으로는 20년 전 appendectomy 수술 경험이 있으시며, 관절약(Ultracet Semi Tab, Moxicam Cap)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계십니다. 치아 상태는 임플란트(1개)를 하고 계십니다.
입술이 말라있고 수술부위 통증으로 인해 표정이 찡그리거나 무표정한 편이라고 합니다. 3/25일 기준으로 MFS 점수가 35점으로 Moderate risk 상태이며, 보행 시 walker와 휠체어를 사용하고 계십니다. 활력징후는 입원 시 150/90-87-20-37.3℃로 확인되었으며, 고혈압이 의심됩니다.
1.2. 건강력 사정
대상자는 약 10년 전부터 both knee pain이 있었으며, 국소적인 치료(경구약, 주사)를 받았으나 증상이 지속되어 왔다고 한다. 최근 3개월 전부터 양측 무릎 통증이 심해져 걷기와 일상활동에 어려움을 겪어 수술을 위해 내원하였다"라고 밝혔다.
대상자의 과거력을 살펴보면 약 20년 전 appendectomy(맹장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현재 고혈압으로 진단 받고 약물 치료 중이라고 하였다. 가족력에서는 특이 사항이 없었다.
입원 당시 주 호소는 약 10년 전부터 지속되어 온 both knee pain이었으며, 특히 최근 3개월 간 증상이 악화되어 일상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고 하였다. 대상자는 이에 무릎 수술을 위해 내원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대상자의 건강력 사정 결과, 약 10년 전부터 양측 무릎 통증이 있었으며 최근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을 결정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거 맹장 수술력과 현재 고혈압 진단 및 약물 치료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은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실제적 또는 잠재적인 건강문제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대상자의 건강 관련 정보를 사정하여 파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력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OO님으로 약 10년 전부터 양측 무릎 통증이 있었으며 국소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점점 악화되었다. 3개월 전부터 양측 무릎 통증이 심해져 활동 시 지속되는 양상을 보여 수술을 위해 내원하였다. 과거력으로는 20년 전 맹장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다. 현재 관절염 관련 약물인 Ultracet, Moxicam을 복용 중이다.
건강력 사정 결과, 대상자의 현재 주호소는 양측 무릎 통증으로 특히 앉았다 일어날 때나 보행 시 지속되는 양상이다. 과거력상 고혈압이 있으며, 그 외 당뇨, 심질환, 악성종양, 간질환, 혈액질환, 정신질환, 호흡기질환 등의 병력은 없다. 수술력으로는 20년 전 맹장 수술 경험이 있다.
입원 당시 진단명은 양측 무릎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이며, 3월 16일 좌측 인공관절 치환술(TKR Lt.), 3월 23일 우측 인공관절 치환술(TKR Rt.)을 시행받았다.
대상자의 건강지각과 건강관리 행태를 살펴보면, 평소 건강 상태에 대해 "보통이다"라고 하였으며, 입원 전 건강관리로는 관절염 관련 약물 복용과 국소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영양 섭취와 배설 양상을 살펴보면, 평소 식사를 골고루 하는 편이며 규칙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식욕이 떨어져 식사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배변 양상은 1일 1회 정상이었으나, 수술 후 변비 증상이 동반되고 있다.
활동과 휴식 양상을 확인한 결과, 수술 전에는 일상생활이 가능했으나 수술 후에는 양측 무릎 통증으로 인해 보행과 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술 후 낙상 위험도 평가 결과 Moderate risk로 나타났다.
지각/인지 영역에서는 특이사항 없이 정상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역할-관계 측면에서는 평소 사교적이었으나 수술 후 다른 환자, 보호자, 의료진과의 상호작용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는 수술과 관련된 통증, 감염 위험, 낙상 위험 등의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사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2.1. Hematology 검사 결과
Hematology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는 전신마취하에 Cholecystectomy 수술을 받은 이후로 백혈구(WBC) 수치가 점차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술 전 5.50 K/uL였던 WBC 수치가 수술 후 7.57 K/uL, 그리고 3일 후에는 12.67 K/uL로 증가하여 정상 범위(3.5-10.6 K/uL)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 면역질환, 염증성 질환 등과 관련된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적혈구(RBC), 헤모글로빈(Hb), 헤마토크릿(Hct) 수치도 수술 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수술 전 RBC 3.80 M/uL, Hb 11.5 g/dL, Hct 35.3%였던 것이 수술 후 각각 3.32 M/uL, 10.2 g/dL, 30.2%로 낮아졌다."" 이는 수술로 인한 출혈 및 빈혈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혈소판(PLT) 수치는 수술 전 294 K/uL에서 수술 후 273 K/uL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정상 범위(130-400 K/uL)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WBC 상승, RBC/Hb/Hct 감소 등의 Hematology 검사 결과는 대상자의 수술 전후 감염 위험성 및 출혈/빈혈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Urinalysis 검사 결과
Urinalysis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요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Color는 straw로 정상 범위였으며, Turbidity는 clear로 나타났다. 비중(Specific G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