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아방어기제 유형과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아방어기제
2.1. 방어기제의 개념 및 종류
2.2. 방어기제의 실생활 사례
3. 방어기제의 긍정적 활용
3.1. 동일시를 통한 자아성장
3.2. 방어기제를 통한 인생 개척
4. 방어기제의 부정적 영향
4.1. 과도한 방어기제의 부작용
4.2. 방어기제의 철회 노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관계와 많은 사건들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과 인간 본연의 성격은 심리적 현상을 만들어내게 된다. 흔히 우리는 이것을 방어기제 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방어기제는 내부에서 나오는 폭발할 것 같은 충동을 조절하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내적 갈등이 생길 때 , 외부환경과 자아가 충돌할 때 방어기제가 생기게 된다. 즉 방어기제는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한 무의식의 발현 이라고 볼 수 있다. 방어기제는 문제 상황이 생겼을 때 생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보통 방어기제가 생긴 경우에 사람들은 힘든 사건을 겪고 있거나, 힘든 사건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개인이 개인에게 다가오는 상황들을 충분히 의식만으로 해결하지 못할 때 무의식은 자기 자신의 심리와 안정을 지키기 위한 선택을 하게 된다. 거의 8~9가지 정도 되는 방어기제 중에 어떤 방어기제가 나오게 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자기 자신 조차 자신이 방어기제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를 때가 많다. 그래서 방어기제는 때로 그 당시 이미 힘든 상황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자기 자신에게는 일시적 문제해결의 방편이 되어줄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어떻게 보면 미래를 향했을때는 절대 좋은 일이 아니다. 말 그대로 임시 방편이 되어줄 뿐이기에 닥쳐오는 일들에 대한 대처 없이 그저 회피하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 자아방어기제
2.1. 방어기제의 개념 및 종류
방어기제의 개념 및 종류는 다음과 같다.
방어기제는 인간이 외부로부터의 위협이나 내면의 갈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처음 제안된 개념으로, 개인의 심리적 균형을 유지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방어기제의 종류에는 억압, 부정, 투사, 동일시, 퇴행, 반동형성, 승화, 합리화 등이 있다.
억압은 불안을 유발하는 무의식적 욕구나 충동을 의식에서 배제시키는 것이며, 부정은 외부 현실이나 내적 사실을 인정하지 않거나 거부하는 것이다. 투사는 자신의 부정적인 충동이나 소외된 감정을 외부로 전가시키는 것이고, 동일시는 자신이 두려워하는 대상과 동일화하는 것을 말한다. 퇴행은 미성...
참고 자료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http://www.koreanpsychology.or.kr/psychology/glossary.asp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 『이화 방어 기제 검사 실시 요강』, 하나 의학사, 2008
권석만. 성격심리학(인간 이해를 위한). 학지사. 2017.
김상인. 방어기제와 정신건강. 한국전인교육개발원. 2009.
안나 프로이트. 자아와 방어 기제. 열린책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