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염료희석법 적분 원리 설명 및 활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염료희석법을 이용한 심박출량 분석과 의학적 활용
1.1. 심박출량의 정의 및 측정 방법
1.2. 염료희석법의 원리와 적용
1.3. 심낭염 진단에서의 활용 가능성
1.4. 의학과 수학의 연계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염료희석법을 이용한 심박출량 분석과 의학적 활용
1.1. 심박출량의 정의 및 측정 방법
심박출량은 심장이 단위 시간, 보통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으로,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움직이는 펌프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단위는 mL/min 또는 L/min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심박출량은 심박수(heart rate, HR)와 일회박출량(stroke volume, SV)의 곱으로 정의된다. 심박수가 1분당 심장이 뛰는 횟수이고, 일회박출량이 심장이 1회 박동하였을 때 박출하는 혈액의 양인 것을 생각해 보면 도출되는 정의이다.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Fick의 원리, 염료희석법, 온도희석법, RI 희석법, 임피던스 희석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염료희석법이다. 염료희석법은 염료를 우심방으로 주입하여 염료가 심장을 거쳐 대동맥으로 들어가게 하고, 대동맥에서 심장을 떠나는 염료의 농도를 염색약이 모두 없어질 때까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염료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이용하여 심박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1.2. 염료희석법의 원리와 적용
염료희석법의 원리와 적용...
참고 자료
미적분의 힘(스티븐 스트로가츠)
https://ko.wikipedia.org/wiki/%EC%A0%81%EB%B6%84
https://fwa7107.wixsite.com/ubme/untitled-cjji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1601112134005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