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센터 실습일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1.26
10,2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검진센터 실습일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 현황 분석
2.1. 인구현황
2.2. 치매유병현황
2.3. 치매조기검진 및 환자등록현황
2.4. 치매 관련 기관 현황

3. 보건소 보건사업 추진영역
3.1. 지역사회 중심 치매예방 및 관리
3.2. 편안하고 안전한 치매 환자 진단·치료·돌봄
3.3.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 부담 경감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목표 설정
4.4. 간호수행 계획

5. 보건교육 기획안
5.1. 학습지도안
5.2. 기대효과
5.3. 예산

6. 자가 실습일지

7. 학생용 자가평가표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 간호란 개인, 가족, 지역을 단위로 사정하여 지역의 문제를 찾고, 진단을 내리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계획과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체계적인 관리와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습에서는 상록수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건 건강사업 및 통계자료를 토대로 서울시 강동구 지역의 문제를 찾아, 적절한 간호와 사업을 적용하고자 한다. 강동구는 서울시 남동단에 위치하며 한강 북쪽을 경계로 경기 구리시, 동쪽으로 경기 하남시, 서쪽으로 천호대교 광진구와 인접하며 남쪽으로 강동대로를 중심으로 송파구와 이웃한다. 강동구의 총인구는 460,141명이며,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강동구 주민들의 건강수준을 분석한 결과, 정신건강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습에서는 강동구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치매와 정신건강 관리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보건사업을 기획하고자 한다.


2. 지역사회 현황 분석
2.1. 인구현황

부산진구는 인구 371,703명(2017년 기준)으로 전체 남자 48.8%, 여자 51.2%를 차지한다. 이 중 유소년(0~14세) 인구는 37,361명(10.1%)이며, 생산연령(15~64세) 인구는 271,400명(73%), 노인(65세 이상) 인구는 62,942명(16.9%)이다. 독거노인은 16,077명으로 전체 노인인구의 25.5%에 해당한다. 또한 1인 가구는 66,369세대로 전체 세대의 39.9%를 차지한다.

인구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2017년 기준 부산진구의 노령화지수는 166.5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태이다. 특히 2017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의 16.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16년 16%, 2015년 15.4%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이를 통해 부산진구의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소득층 현황을 살펴보면, 부산진구의 저소득층(국민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 차상위계층) 인구는 19,784명으로 전체 인구의 5.3%를 차지한다. 이 중 개금3동, 범천2동, 전포2동 등이 저소득층 집중 거주 지역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부산진구는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역으로 노인인구 비율이 높고, 저소득층도 일부 지역에 밀집되어 있어 이들에 대한 보건의료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2.2. 치매유병현황

부산진구의 치매유병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산진구의 추정 치매 유병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3년 3,021명이었던 추정 치매인구가 2016년에는 3,432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치매 유병률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건강보험 진료 자료에 의하면, 부산진구의 치매질환 진료를 받은 인원 역시 증가하고 있다. 2011년 1,633명이었던 치매 진료 인원이 2014년 1,861명으로 늘어났다.

부산진구 보건소에 등록된 치매환자 수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14명이었던 등록 환자 수가 2016년에는 970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지속적인 치매관리사업 실시로 인해 등록환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산진구의 치매조기검진 실적도 증가하고 있다. 2012년 선별검사 3,265건, 진단검사 87건이었으나 2015년에는 선별검사 7,609건, 진단검사 120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를 통해 치매에 대한 관심과 조기 발견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부산진구의 치매유병현황은 노인인구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지역사회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3. 치매조기검진 및 환자등록현황

치매환자 등록현황을 보면, 북구 보건소의 등록치매환자는 2007년 치매관리사업 실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9년에는 14명이었던 등록 치매환자가 2016년에는 970명으로 크게 늘었다. 등록 치매환자 현황은 2009년 14명, 2010년 306명, 2011년 521명, 2012년 624명, 2013년 665명, 2014년 740명, 2015년 864명, 2016년 970명으로 나타났다.

치매조기검진 실적 현황을 보면, 선별검사 건수는 2012년 3,265건, 2013년 5,148건, 2014년 4,387건, 2015년 7,609건, 2016년 7,137건으로 대체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5년 이후 지역자원 연계 및 치매예방자원봉사단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선별검사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2011...


참고 자료

금연두드림. 보건소금연클리닉. https://nosmk.khealth.or.kr/nsk/ntcc/subIndex/66.do 검색일: 2021.09.15
부산광역시. 금연클리닉 운영. https://www.busan.go.kr/health/ahlifehabit01 검색일: 2021.09.15
금연길라잡이. 금연성공비법. 금연체조. https://www.nosmokeguide.go.kr/lay2/bbs/S1T33C111/H/24/view.do?article_seq=357&tag_name=&cpage=1&rows=10&condition=&keyword=&cat=&rn=2 검색일: 2021.09.15
금연길라잡이. 금연필요성. https://www.nosmokeguide.go.kr/lay2/bbs/S1T33C110/H/23/list.do 검색일: 2021.09.15
금연길라잡이. 흡연 현황 및 통계. https://www.nosmokeguide.go.kr/lay2/bbs/S1T33C44/H/65/list.do 검색일: 2021.09.15
금연길라잡이. 니코틴 의존도 진단. https://www.nosmokeguide.go.kr/lay2/program/S1T50C9/nosmoke/noSmoke_selftest/noSmoke_selftest1_1q.do 검색일: 2021.09.15.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보건복지부. OECD Health Statistics 2020(요약본) 검색일: 2021.09.15.
공공데이터포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인구현황, https://www.data.go.kr/data/15074078/fileData.do 검색일: 2021.09.15.
부산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지역통계, http://www.bhi.or.kr/bppi/view.do?no=161 검색일: 2021.09.15.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제 7기 부산진구 지역보건의료계획(2019-2022년)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Ⅰ(2022), 수문사, p230-249
2022 지역사회 건강통계
2023년 강동구청 기본통계현황
제 8기 강동구 지역보건의료계획
2017 강동사회 보건소
강동구 보건소 https://health.gangdong.go.kr/health/site/main/home
강동구청 www.gangdong.go.kr
KOSIS https://kosis.kr/index/index.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