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디지털 경제와 표준화
1.1. 디지털 경제의 특성
디지털 경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판매방식을 도입하고 무한적인 상품과 판매자와의 비교, 협상, 거래가 가능해짐에 따라 거래비용이 감소하는 "제한된 합리성의 극복"이 가능해졌다.""
둘째, 디지털 시장경제에서는 완전한 시장경제정보를 수집하는 비용이 극소화되어 "제한된 정보에서 완전정보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소비자 수요정보 수집이 용이해졌다.""
셋째, 디지털 시장경제에서는 거래상대자나 판매대상 상품 등을 실질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워져 "불확실성의 심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신분증명, 인증서비스 등이 요구된다.""
1.2. 표준화의 중요성과 기업전략
표준화의 중요성과 기업전략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표준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서로 다른 기기 간의 연결과 대화를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며, 표준은 기업의 생사는 물론 국가 흥망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 기업 간, 국가 간 치열한 표준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이를 "총성 없는 전쟁"이라고 표현할 정도이다.
표준을 장악한 소수의 기업들은 시장을 독·과점하며 막대한 이윤을 누리게 된다. 예를 들어 PC 시장에서 승리한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은 당기순이익률이 각각 41%, 25%에 달한 반면, 경쟁에서 패배한 애플은 9.8%에 불과했다. 또한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면서 국제 표준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표준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제품이 세계 교역량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WTO의 기술장벽협정(TBT)은 각국이 국제 표준을 의무적으로 수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 표준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경쟁에서 승리한 기업은 시장을 독점하지만, 패배한 기업은 시장에서 퇴출되거나 군소기업으로 전락하게 된다. 둘째, IT 분야에서는 후발기업이 선발기업을 따라잡기 어려운 "Winner Takes All" 현상이 나타나며, 특정 제품에 익숙해지면 다른 제품으로의 전환이 곤란한 "잠김(Lock-In)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표준을 선점하고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게 된다.
1.3. 표준화의 진화 단계
표준화의 진화 단계는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제1단계는 다양한 기술과 방식이 제안되고 상용화 가능성이 탐색되는 단계이다. 사실상 표준의 경우, 여러 가지 기술이 개발되어 논문발표 또는 특허 취득을 통해 시장에서 표준화 가능성을 검증받게 된다. 공적 표준은 각종 연구결과가 국제표준기구에서 제안되고 심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단계에서 기업은 경쟁자보다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거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며, 핵심기술을 특허로 등록하여 초기 진입장벽을 구축하게 된다.
둘째, 제2단계는 제안된 여러 가지 표준이 주도권 확보를 위해 경쟁하는 단계이다. 몇 개의 표준이 경쟁하면서 시장에서 혹은 공적 기구를 통해 주도세력이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는 시장 선점 또는 기선제압을 목표로 저가전략, 공개전략, 전략적 제휴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초기 사용자를 공략하기 위해 이익을 희생하면서 저가로 판매하는 전략도 구사된다.
셋째, 제3단계는 일단 특정 표준이 주도하는 단계로, 가격경쟁 등 표준 내 경쟁이 전개된다. 이 단계에서는 특정 모듈의 독점, 효율적 분업화 등이 전략의 핵심이 되며, 공개전략을 통해 여러 기업이 가담하면서 효율적인 분업체제가 구축된다.
넷째, 제4단계는 신기술 발전으로 새로운 표준이 등장하여 기존 표준을 대체하는 단계이다. 기술진보가 급속한 분야에서는 표준의 세대교체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 단계에서 기존 표준을 주도한 기업은 새로운 기술에 신속히 적용하고, 표준에서 탈락한 기업은 새로운 표준을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1.4. 주요 IT 분야의 표준경쟁
주요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