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관지확장증 간호과정 및 성인간호학 케이스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1.1. 병태생리
1.2. 원인
1.3. 증상
1.4. 진단
1.4.1. 흉부단순촬영
1.4.2. 기관지조영술
1.4.3. 기관지내시경
1.4.4. Chest CT/High resolution CT
1.4.5. 폐기능검사
1.5. 치료
1.5.1. 감염치료
1.5.2. 기관지 청결
1.5.3. 합병증의 치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1.1. 병태생리
기관지 확장증은 기관지 벽의 영구적이고 비정상적인 확장과 파괴를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의 선천적 또는 후천적 질환이다. 이 질환은 기도(airway)의 재발성 염증이나 감염에 의해 유발되며, 이 중 약 절반(1/2)은 낭포섬유화(cystic fibrosis)가 초래한다.
기관지 확장증은 폐로부터 점액 배출능력이 감소되므로 폐쇄성 질환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경우 호흡기계 질병의 후유증으로 발병하며, 선천적으로 기관지가 확장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다. 기관지확장증을 유발하는 질병으로는 영·유아기의 폐렴이나 백일해, 홍역 등과 청소년기 이후의 폐결핵이나 폐농양, 폐렴 등이 있다. 이외에도 수술 후 기침을 하지 못할 때, 기관지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과 같은 질환, 종양, 이물질, 염증 등으로 인한 기관지 협착, 부식성 화학약품이나 위 내용물의 흡인 등이 기관지확장증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에는 항생제와 교정 수술이 발달하여 폐쇄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기관지확장증은 드물어졌다.
기관지 확장증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장기간의 호흡기도 감염과 기관지 폐쇄로 인해 세기관지의 섬모상피가 비운동성 섬모상피로 대치된다. 이 섬모상피 조직은 국소적으로 늘어나거나 주머니 형태를 만들게 되는데, 탄력성이 없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기관지벽이 감염되면 분비물이 점진적으로 축적되고 폐쇄된다. 관련된 기도는 정상 크기의 4배로 늘어나고 원통 모양, 방추 모양 혹은 낭 모양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한쪽 또는 양쪽 폐의 하엽, 특히 왼쪽 하엽에 가장 흔히 나타나고, 오른쪽 중간엽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1.2. 원인
기관지확장증의 대부분은 호흡기계 질병의 후유증으로 발병한다"" 영아기의 폐렴이나 백일해, 홍역 등이 주요 원인이 되며, 청소년기 이후에는 폐결핵이나 폐농양, 폐렴 등이 원인이 된다"" 또한 수술 후 기침을 하지 못할 때, 기관지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 종양, 이물질, 염증으로 인한 기관지 협착, 부식성 화학약품이나 위 내용물의 흡인 등도 기관지확장증을 유발할 수 있다"" 요즘에는 항생제와 교정수술이 발달하면서 폐쇄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기관지확장증은 드물다""
1.3. 증상
기관지확장증의 특징적인 임상증상은 1일 20mL 이상 다...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main.asp
LAB TESTS ONLINE/대한진단검사의학회와 협력하여 AACC
https://labtestsonline.kr/tests/cbc
RadiologyInfo.org
https://www.radiologyinfo.org/en/info.cfm?pg=abdominct
부산해운대백병원 14B병동 EMR, 간호정보조사지 등
네이버 블로그/호흡법과 가래배출법
https://mi2kbk.blog.me/221064676003
네이버 블로그/네뷸라이저 사용방법
https://blog.naver.com/tinaarena/221066114261
Valentina L. Brashers 외,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ELSEVIER.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Meg Gulanick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Herdman Kamitsuru,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정담미디어.
조경숙 外(2013). 성인간호학 상권 593p,594p. 현문사
계형근(2005). 질병과 치료 143p. 청어출판사
세키네이마오(2003). 증상별로 찾아보는 가정의학 가이드 99p. 넥서스
신재용(2003). 남성동의보감 201p. 정음출판사
의학교육연수원(2008). 가정의학 405p,406p. 서울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