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감속기 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속기의 설계
1.1. 기어의 잇수 결정
1.2. 축에 작용하는 토크 결정
1.3. 피니언에 작용하는 접선력 결정
1.4. 입력축과 출력축의 지름 결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속기의 설계
1.1. 기어의 잇수 결정
감속비 ε은 기어의 회전비와 잇수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ε = {N_2} over {N_1} * {N_4} over {N_3} = {Z_1} over {Z_2} * {Z_3} over {Z_4}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감속비 ε은 {1} over {12}이고, 피니언의 잇수 Z_1은 24개로 주어졌다. 따라서 기어의 잇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먼저, ε = {1} over {4} * {1} over {3}이므로 {Z_1} over {Z_2} = {1} over {4}, {Z_3} over {Z_4} = {1} over {3}이 된다.
{Z_1} over {Z_2} = {1} over {4}이므로 Z_2 = 4 * 24 = 96이 된다.
{Z_3} over {Z_4} = {1} over {3}이므로 Z_4 = 3 * 24 = 72이 된다.
따라서 기어의 잇수는 Z_1 = 24, Z_2 = 96, Z_3 = 24, Z_4 = 72로 결정된다.
1.2. 축에 작용하는 토크 결정
감속기에서 각 축에 작용하는 토크는 해당 축의 회전수와 동력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감속비를 통해 각 축의 회전수를 구할 수 있다. 감속비 ε은 {1}over{12} = {1}over{3} TIMES {1}over{4}이므로, 각 축의 ...
참고 자료
정남용, 최신 기계설계, 학진북스, 2013, p325 (KS B 0406)
KS B 1415 (국가 기술 표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