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사의 장소별 안전수칙
1.1. 실내시설별 안전
1.1.1. 현관
유아 독단적으로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등원, 하원 시간외에는 단독적인 행동에 대해 주의를 준다. 유리문은 현관문임을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하고 손 끼임 방지에 대해 주의점을 유아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유아가 현관에서 독단적으로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교사는 등원과 하원 시간 외에는 유아의 독단적인 행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현관에 설치된 유리문이 현관문임을 표시하는 스티커를 부착하고, 유리문에 의한 손 끼임 방지에 대해 유아들에게 주의사항을 알려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아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관은 교육기관에서 가장 주요한 출입구이자 시설물로, 유아의 등하원 시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교사는 현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세심한 관찰과 지도가 필요하다.
우선 유아가 독단적으로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원과 하원 시간 외에는 유아의 행동을 세심히 관찰하고 주의를 주어야 한다. 유아의 호기심과 활동성으로 인해 현관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관에 설치된 유리문의 경우, 유리문이라는 것을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하여 유아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리문은 투명한 소재이기 때문에 유아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부딪힐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유리문임을 표시하는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유리문에 의한 손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유아들에게 주의사항을 알려주어야 한다. 유리문이 닫힐 때 유아의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다.
이처럼 교사는 현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유아의 행동을 세심히 관찰하고, 시설물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하는 등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아의 안전한 등하원을 보장하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1.1.2. 교실
교실은 유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므로 안전한 환경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교실은 1층에 배치하여 교사의 시선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도록 해야 한다. 창문 주변에는 유아들이 딛고 올라설 만한 물건이 없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또한 커튼이나 블라인드 끈은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고 짧게 정리해야 한다.
교실 내 비품과 관련하여, 날카로운 물건은 잠금장치가 있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학용품은 안전마크가 있고 화학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된 것을 선택해야 한다. 커튼, 벽지, 카펫 등은 방염 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교구장이나 수납장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하거나 모서리보호대를 부착해야 한다. 무거운 비품은 아랫부분에 보관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놀잇감과 관련해서는 모든 놀잇감에 날카로운 곳, 가시, 갈라진 곳, 삼킬 우려가 있는 작은 부속품이 없어야 한다. 3.5cm 이상의 크기로 유아들이 다루기 용이한 것을 제공해야 한다. 정리 상자에는 잠금장치가 없어야 하며, 유아가 꺼내고 수납하기 알맞은 높이에 놓여 있어야 한다. 크거나 무거운 놀잇감은 교구장 아래에 보관해야 한다. 놀잇감을 구입할 때는 안전성이 검증된 것인지 확인한 후 구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실 내 벽면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석고가 갈라져 떨어질 위험이 있는지 확인하고, 발견 즉시 상급자에게 보고해야 한다.""
1.1.3. 화장실
화장실 바닥은 미끄럼 방지타일이나 미끄럼방지대 등 안전장치를 사용하고 건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영유아보호포장용기를 사용한 세제류를 사용해야 하고 높은 곳에 보관해야 한다. 이는 영유아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화장실 바닥은 미끄럼이나 낙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수칙을 마련하여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 것이다.
1.2. 실외시설의 유형별 안전
1.2.1. 바닥
실외 놀이 공간의 바닥은 흙, 모래, 잔디, 시멘트, 자갈, 아스팔트, 나무껍질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재질은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하여 영유아의 안전한 놀이를 보장한다. 바닥 면은 심한 패임 현상이 없어야 하며, 건축자재, 돌, 유리 조각 등 이물질이 없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놀이시설물 아래와 주변 공간에는 충격흡수재를 설치하여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해야 한다. 실외 놀이 공간의 바닥은 영유아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항상 관리와 점검이 필요하다.
1.2.2. 놀이기구 안전관리
1.2.2.1. 미끄럼틀
미끄럼틀은 실외놀이기구 중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안전관리가 중요한 시설물이다. 유아들과 함께 미끄럼틀 이용 규칙을 만들어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미끄럼틀 이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재료가 휘지 않아야 하며, 하강지역 바닥의 높이가 적절해야 한다. 또한 금속부분의 녹슬음이나 금이 없어야 하고, 돌출부나 거친 부분이 없으며 볼트나 너트가 풀리지 않아야 한다. 특히 유아들이 이용하는 미끄럼틀의 경우,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정기적인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