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2세 mycoplasma pneumoni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사례연구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2. 관계 문헌의 개요
1.2. 문헌고찰
1.2.1. 해부생리적 기전
1.2.2. 소아 폐렴의 정의와 원인
1.2.3. 소아 폐렴의 증상
1.2.4. 소아 폐렴의 진단 및 치료
1.2.5. 소아 폐렴의 간호
1.2.6.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1.3. 간호과정
1.3.1. 간호사정
1.3.2. 간호진단
1.3.3. 간호계획 및 수행
1.3.4. 간호 평가 및 재계획
1.4. 참고문헌
2. 상세불명의 기관지폐렴 사례보고서
2.1. 문헌고찰
2.1.1. 폐렴의 정의 및 특성
2.1.2. 폐렴의 원인
2.1.3. 폐렴의 병태생리
2.1.4. 폐렴의 증상
2.1.5. 폐렴의 진단
2.1.6. 폐렴의 치료
2.1.7. 폐렴의 간호 중재
2.2. 임상사례보고
2.2.1. History Taking
2.2.2. Progress note
2.2.3. Nursing note
2.2.4. Laboratorial & Diagnostic Test
2.2.5. Treatment
2.3. Nursing Progress
2.3.1. Nursing Problem List
2.3.2. Nursing diagnosis
2.3.3. Nursing diagnosis 및 의미있는 자료
2.3.4. 간호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사례연구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 연구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이라는 진단명을 가진 소아 환아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마이코플라즈마에 의한 호흡기 감염이 5세 이하의 어린 연령층에서도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마이코플라즈마는 바이러스와 유사하지만 크기가 더 크며, 소아 청소년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 중 하나이다. 특히 최근에는 유아원과 같은 보육시설의 증가로 어린 영유아의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환아의 간호중재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1.1.2. 관계 문헌의 개요
관계 문헌의 개요에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이코플라즈마균은 바이러스와 유사하고 크기가 더 크다. Mycoplasmal 폐렴은 아동기(5세 이상)에서, 그리고 겨울에 자주 발생한다. Mycoplasmal 폐렴의 증상은 다른 폐렴과 구별이 어렵다. 아동은 열과 기침이 나고 이상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 목의 림프절은 커져 있을 것이다. Mycoplasmal균은 일반적으로 erythromycin 또는 tetracycline에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 Erythromycin은 8세 미만의 아동에게 투여되는데 이는 tetracline이 치아에 갈색착색을 시키며 긴뼈의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2. 문헌고찰
1.2.1. 해부생리적 기전
상부기도는 코, 인두(pharynx), 후두(larynx)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된 공기의 여과, 습화, 이물질 걸러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하부기도는 기관(trachea), 주기관지(main bronchi), 엽기관지(lobar bronchi), 구역기관지(subsegmental bronchi), 세기관지(bronchioles), 종말기관지(terminal bronchiole)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기도의 주요 기능은 공기를 폐포까지 전달하고, 점액과 섬모운동으로 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며,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것이다. 폐는 심장을 가운데로 두고 좌우에 2개가 위치하며, 위치는 제1늑골 위부터 횡격막까지이다. 폐는 생명유지에 매우 중요한 기관으로, 폐엽과 폐분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율신경과 혈관이 공급되어 있다. 주요 기능은 환기를 통한 가스 교환, 체온 조절, 체내 산염기 평형 유지이다.
1.2.2. 소아 폐렴의 정의와 원인
폐렴(pneumonia)이란 폐 실질 조직에 염증이 일어나는 것으로, 주 증상은 고열과 기침이며 흉부방사선소견상에 병변을 보이는 급성 감염을 일컫는다. 바이러스나 세균이 폐에 도달하는 경로는 기침할 때 튀어 나오는 침방울이 입과 코로 흡입되거나, 공기 중에 있는 것이 흡입되어 시작된다. 소아기에 발병하는 폐렴(pneumonia)의 원인은 주로 바이러스나 마이코플라즈마라고 하는 균에 의한 것이며, 세균감염에 의한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정상 성인에서 폐렴이 잘 걸리지 않는 것은 후두 이하 부위가 무균상태를 유지하려는 폐의 방어기전이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나 세균에 처음 노출되어 균에 대한 저항력과 면역력이 약하고 호흡기의 구조가 미숙하기 때문에 어른보다 쉽게 폐렴에 걸린다. 따라서 소아 폐렴(pneumonia)은 다른 연령의 폐렴(pneumonia)과 공통적인 특징을 나타내지만, 어린 영아의 경우 폐에 대한 방어능력에 많은 제한점이 있어 다른 특징을 보인다. 특히 기도의 좁은 내경 때문에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에 의한 염증성 부종, 삼출물 등에 의해 기도 폐쇄의 소견을 볼 수 있으며, 천명, 과팽창 및 무기폐 등이 흔히 동반된다. 또한 소아 폐렴(pneumonia)의 원인은 소아의 연령에 따라 다르므로 나이에 따른 구분이 중요하다. 즉, 신생아기, 영아기 및 학동기 연령의 폐렴(pneumonia)은 원인과 치료 방침이 각기 다르다. 그리고 소아 폐렴의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기인하는데 성인에 비해 흔한 편이다. 또한 소아의 폐렴(pneumonia)은 발병으로부터 치료 과정 동안 원인을 밝히지 못한 상태에서 치료를 종료하는 경우가 많다. 5세 미만 소아는 가래를 배출하지 못하므로 객담의 그람염색과 배양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아 폐렴(pneumonia)의 원인은 크게 바이러스성, 마이코플라즈마성, 세균성으로 구분된다. 먼저 바이러스성 폐렴(viral pneumonia)은 아동의 모든 연령층에서 세균성 폐렴보다 빈번하게 발생한다.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는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rhinovirus, adenovirus 등이 있다. 다음으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은 5~12세 사이의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며, 주로 가을과 겨울에 밀집된 생활 환경 속에서 호발한다. 마지막으로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은 일반적으로 상기도의 바이러스 감염이 선행된 후 갑자기 시작되는데, 신생아기에는 pneumococcus, group A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enteric bacilli, chlamydia 등이, 유아기(3-5세)에는 pneumococcus, M. catarrhalis, staphylococcus, group A streptococci 등이, 학령전기(5세 이후)에는 mycoplasma pneumoniae, pneumococcus 등이 주요 원인균이다. 이 중 Haemophilus influenza type b(Hib)는 Hib 백신 덕분에 감염이 감소되었다.
1.2.3. 소아 폐렴의 증상
소아 폐렴의 증상은 바이러스성, 마이코플라즈마성, 세균성 폐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대개 감기 증상으로 서서히 시작하여 며칠간 콧물과 기침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가족 중에서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열이 날 수 있지만 세균성 폐렴보다는 드물다. 감기 증상을 보인 뒤 기침이 심해지고 빠른 호흡과 흉부함몰이 나타난다. 세균성 폐렴과 바이러스성 폐렴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심하고 오래 가는 기침과 38도 이상의 열이 주요 증상이다. 초기에 두통, 피로감, 열, 콧물, 인후통이 서서히 진행되어 목이 쉬고 기침을 하게 된다. 처음에는 마른기침이 나오지만 점차 가래가 섞인 기침으로 발전한다. 대개 3~4주 후에는 기침을 비롯한 대부분의 증상이 사라진다. 호흡기 외 증상으로 구토, 복통, 피부 발진을 보일 수 있으며 뇌수막염, 뇌염, 빈혈, 간염, 심근염, 관절염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1.2.4. 소아 폐렴의 진단 및 치료
소아 폐렴의 진단 및 치료는 다음과 같다.
폐렴의 진단은 주로 병력청취, 신체검진, 영상검사, 혈액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선 병력청취를 통해 환아의 증상 발현 시기, 양상, 기간 등을 확인한다. 신체검진에서는 호흡음 청진, 폐의 타진 소견 등을 통해 폐 침윤 여부를 확인한다. 흉부 X선 검사를 통해 폐 실질의 침윤, 폐렴 침범 범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검사에서는 백혈구 증가, C-반응성 단백질(CRP) 상승 등 염증 소견을 통해 폐렴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객담 및 혈액 배양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할 수 있다.
폐렴의 치료는 원인균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바이러스성 폐렴의 경우 주로 대증적 치료가 이루어지며, 항바이러스제 사용은 제한적이다. 반면 세균성 폐렴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영아 및 5세 이하 어린 아동에게는 주로 아목시실린,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등의 경구용 항생제가 사용되며, 나이든 아동 및 청소년에게는 에리스로마이신 등의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가 사용된다. 특히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인플루엔자균 등 흔한 세균성 폐렴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이외에도 흉부물리요법, 산소 공급, 수분 및 영양 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가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아 폐렴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혈액 검사 등 다양한 진단 방법을 활용하고, 원인균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더불어 보존적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1.2.5. 소아 폐렴의 간호
소아 폐렴의 간호는 아동의 요구에 따라 대증적 지지 간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호흡기질환과 인플루엔자나 폐렴 등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 바이러스성 질병 병력이 있는지, 발진이나 곤충에 물리거나 동물에 노출된 적 있는지 등의 자료를 수집한다"" 그 다음 지속적인 활력징후 측정과 흉부 청진을 통해 질병의 진행과정과 합병증의 초기 증상을 사정한다""
특히 호흡의 횟수, 리듬, 깊이, 노력 등을 관찰하고, 호흡양상에서 빈호흡, 빈맥, 과도환기, Kussmaul 호흡, Cheyne-Stoke 호흡, 지속성 흡식(apneustic) 호흡, Biot 호흡 등의 변화를 주시한다"" 또한 흉부의 움직임과 대칭 여부, 보조근의 사용, 쇄골 움직임, 늑간근 수축을 관찰하고 횡경막의 근육피로도 사정한다""
호흡음 청진 시에는 환기 감소, 결핍부위, 진동음이 들리는 부위를 기록하며, 악설음과 천명음을 확인하여 흡인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함께 비익의 확대, 흉부견축, 점막과 피부의 색깔(창백, 청색증), 통증(흉부/복부), 호흡곤란, 불안, 초조, 불안정 등의 산소부족 증상도 사정한다""
통증 사정 시에는 기침을 하거나 호흡을 깊게 할 때마다 흉막이 더 아프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인다""
다음으로 효과적인 기침 능력을 관찰하여 기침의 시간, 특징, 기간을 확인하고, 호흡기 분비물을 관찰한다"" 심호흡으로 흉곽내 압력을 상승시켜 강하게 숨을 내쉬는 기침을 하도록 권장하며, 유발폐활량계 사용도 권장한다""
또한 호흡곤란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확인하여, 반좌위를 취하게 함으로써 폐용적을 늘려 환기를 증진시키고, 구강, 비강, 기관지 등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 개방을 유지한다"" 어린 영유아는 질식의 위험 때문에 구강으로 아무것도 주지 않고, 기저귀와 비강 흡인을 통해 기도를 유지한다""
또한 4시간마다 또는 상태에 따라 더 자주 흉부물리요법(타진, 진동)이나 흡인, 체위배액을 시행한다"" 이와 함께 가온/가습기구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며, 특히 차가운 증기로 채워진 안개텐트는 기관지 부종을 줄이고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다""
체온 조절을 위해 이미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고, 미온수 마사지를 30분 이내 시행하며, 시원한 환경을 유지한다"" 수분 공급은 기도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출을 돕기 때문에 중요하다"" 급성기에는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하고, 구강 수분 공급이 허용되면 주의깊게 공급한다""
신체적, 정서적 긴장 완화를 위해 휴식을 취하게 하고 낯익은 장난감이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시 진정제가 처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약물요법을 포함한 전반적인 처방을 이행하고 휴식과 점진적 운동을 실천하는 것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또한 폐렴의 위험요인, 치료, 합병증 예방과 조기 발견 방법, 손위생 등에 대해 설명한다"" 퇴원 전에는 폐렴의 증상이나 약물 투여법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부모를 교육한다""
1.2.6.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이코플라즈마균에 의해 발생하는 소아청소년기 폐렴의 한 유형이다. 마이코플라즈마균은 바이러스와 유사하지만 크기가 더 크며, 주로 5세 이상의 아동기와 겨울철에 자주 발생한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증상은 다른 폐렴과 구별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열과 기침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며, 림프절 종대도 관찰된다. 마이코플라즈마균은 대부...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N의학정보, “소아 폐렴 [pneumonia in children]”, 2023.09.24. http://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64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폐렴(Pneumonia)”, 2023.09.24.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1&tabIndex=0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건강매거진, 카드뉴스, “아이의 식욕이 부진하고 감기가 잘 낫지 않는다면? 폐렴을 의심해 보아요!”, 2023.09.24. https://m.cmcsungmo.or.kr/page/health/magazine/detail/588?p=1&s=5&q=%7B%7D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진료안내, 진료질환정보, “폐렴 [pneumonia]”, 2023.09.24.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 건강소식, 건강정보, “폐렴”, 2023.09.24.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idx=57&engWord=&curPage=9&keyword=&word2=&searchFields=&word3=&word=&type=A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폐렴(소아)”,2023.09.24.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74
이수연 외 공저,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수문사,2019,P.660-663
김정순(2016),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서울시 강남구, 현문사
김정순 외(2013),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시 강남구, 현문사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이수연, 김태임, 류은경, 민해영, 윤희옥, 장군자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p.559, 581-582, 617, 638-639, 641-643, 662-663, 802, 837
이수연, 김태임, 류은경, 민해영, 윤희옥, 장군자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p.65, 118, 147, 186, 236, 240, 244, 266, 287-289
T. Heather Herdaman, PhD, RN, FNI, FAAN · Shigemi Kamitsuru, PhD, RN, FNI · Camila Takao Lopes, PhD, RN, FNI 공저. 고일선, 김진숙, 송라윤 오의금 공역. (2022). ‘NANDA international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12th Edition 2021-2023’. 경기도 파주시 : 학지사 메디컬. p.58, 253, 414, 416, 485, 499
문미경. (2017), 아동병동 입원 환아를 대상으로 간호학생이 내린 간호진단의 네트워크 분석, J Health info Stat 2017, 42(3), p.223-231.
강혜숙, 윤오복. (2010), '소아응급실을 내원한 환아 보호자의 미온수 마사지 경험실태', 간호학의 지평, 7(1), p.65-74.
신용순, 김성렬, 유성희, 김선화, 김정희, 김현정, 나라, 채지선, 이혜진, 안영희, 김경옥. (2013),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5(3), p.250-262.
정용선, 김진선.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문헌고찰’,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6(1), p.30-40.
오원섭. (2015), ‘Essentials of Primary Care: 감염: 열나는 환자, 어떻게 접근할까?-급성 발열 외래환자를 중심으로-’,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5(2), p.212-215.
유혜라. (2004), ‘간호사의 환자교육 촉진 및 방해요인 조사 연구 : Theory of Planned Behavior를 기반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0(1), p.136-148
‘의약품상세검색’,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검사항목’, GC Labs, GC 녹십자 의료재단 www.gclabs.co.kr/test/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