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손톤 와일더의 "우리 읍내"
1.1. 작품소개
"손톤 와일더의 "우리 읍내"는 1938년 1월 22일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 메카터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뉴욕 타임즈지에 소개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 작품은 작가 와일더의 연극론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작품으로 유명하며, 현재까지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연극 중 하나로 손꼽힌다.
작품의 배경은 뉴햄프셔 주의 작은 마을 그로버즈, 코너즈이지만, 와일더는 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비상식적"이고 "허구적"으로 다룬다. 이는 관객들이 특정 장소나 인물에 얽매이지 않고 보편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와일더는 "익숙한 사실에 심오하고도 감동적이며 철학적인 관점"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총 3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막의 주제는 [일상]-[사랑과 결혼]-[죽음]으로 이어진다. 1막에서는 두 가정의 평범한 일상을 재현하고, 2막에서는 청소년이었던 조지 깁스와 에밀리 웹스의 사랑과 결혼을 다룬다. 마지막 3막에서는 출산 중에 사망한 에밀리의 영혼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와일더는 이 작품을 통해 평범한 일상의 가치를 되새기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극장주의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무대감독의 등장, 빈 무대와 상징적인 마임 연기, 허구성과 실제의 경계를 허무는 기법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작품 속 인물들의 삶을 단순한 관찰자가 아닌 능동적인 참여자의 입장에서 경험하게 된다.
와일더의 이러한 시도는 당시 미국사회에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불안감에 휩싸인 많은 미국인들에게 위안과 감동을 주었으며, 지금까지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읍내"는 표면적으로는 작은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지만, 실제로는 와일더가 추구한 연극예술의 본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2. 등장인물
무대감독(Stage Manager)은 관객들에게 극에 대해 설명을 하고 극의 흐름을 지배하는 인물이다. 가끔씩 실제 등장인물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는 관객들이 연극을 수동적으로 감상하지 않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