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정이 웃어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경험적 가족치료와 가족복지
1.1. 경험적 가족치료의 유용성
1.1.1.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치료를 도모함
1.1.2. 내면의 표출을 중시하며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함
1.1.3. 가족 구성원들끼리의 협력을 중시함
1.2. 실제 상담에서의 경험적 가족치료 기법 적용
1.2.1. 클라이언트 각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치료를 도모하여 맞춤형 치유를 이뤄냄
1.2.2. 내면의 표출을 통해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갈피를 잡게 됨
1.2.3. 가족 구성원들끼리 협조하는 것을 가족치료 기법으로 두고 행해 가정의 화목을 이룸
1.3. 경험적 가족치료 기법 적용 시 어려움
1.3.1. 클라이언트 개개인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려다 공격적인 클라이언트들을 다루는 데 있어 애를 먹기도 함
1.3.2. 억지로라도 잘 웃으며 미소 지어 마음을 편하게 해서 클라이언트들이 속내를 드러내게 함
1.3.3. 오래전 사이가 틀어진 가족 구성원들의 경우, 서로 협조하게 만들기가 힘듦
1.4. 가족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1.4.1. 가족복지의 개념
1.4.2. 가족복지의 필요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경험적 가족치료와 가족복지
1.1. 경험적 가족치료의 유용성
1.1.1.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치료를 도모함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치료를 도모함은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클라이언트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들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가족치료가 가족 전체에 초점을 맞춘 것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클라이언트 개인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상담사는 클라이언트 개개인의 감정, 경험, 가치관 등을 세밀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각 클라이언트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들은 자신의 문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A씨는 가족 구성원들과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한다. 이때 상담사는 A씨 개인의 입장에 초점을 맞추어 상담을 진행한다. 즉, A씨가 가족들과 겪는 갈등의 근본 원인이 무엇인지, A씨 개인의 심리적 욕구와 행동 특성은 어떠한지 등을 면밀히 파악한다. 이를 토대로 A씨 개인에게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경험적 가족치료의 개인 중심적 접근은 클라이언트들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보다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기존의 가족치료가 가족 체계 전반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보다 개인화된 치료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1.1.2. 내면의 표출을 중시하며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함
내면의 표출을 중시하며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함이란, 다수의 내담자들이 상담사에게 자신이 처해있는 문제상황에 관한 감정과 정서를 전부 다 표출하여 상담사가 이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도모하게 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들이 위로받고 위안받는 등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내담자들이 상담사를 신뢰하게 되면 감정과 정서를 모두 표출하게 되고, 상담사는 이를 토대로 내담자가 가족들과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어떻게 하면 가족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한 마찰과 잡음을 제거할 수 있을지를 제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내담자들은 심리적인 안정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경험적 가족치료의 유용성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1.1.3. 가족 구성원들끼리의 협력을 중시함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가족 구성원들끼리의 협력을 중시한다. 가족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족의 화목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족 구성원들끼리 협력하는 것은 가족 치료의 핵심 기법 중 하나이다.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참고 자료
알코올중독에 대한 V. Satir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연구
-2006, 이현준, 석사논문-
버지니아 사티어(Virginia Satir)의 경험적 가족 치료 모델을 통한 가족의 의사소통 증진 방안 연구
-2010, 김선혜, 석사논문-
영유아보육학, 저자 김명희, 출판 교육아카데미, 2006.03.20.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
최선화, 가족복지론, 2018,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