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과 일본 의료시스템 비교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일본의 국가적 특성
1.1.1. 국가정보
1.1.2. 사회구조
1.1.3. 종교
1.1.4. 문화
1.1.5. 사회적 문제
2. 일본의 보건의료시스템
2.1. 일본의 보험제도
2.1.1. 근거법
2.1.2. 제도 유형
2.1.3. 재원
2.1.4. 적용 대상 수급 요건
2.2. 일본의 질병 구조 변화와 생활습관병
2.3. 일본의 의료인력 구성 및 간호사 분류
2.3.1. 의료인력 구성
2.3.2. 간호사 분류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일본의 국가적 특성
1.1.1. 국가정보
일본은 아시아대륙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이어지는 일본열도를 차지하고 있는 섬나라이다. 면적은 약 37만 7천㎢로 한반도의 약 1.7배이다. 수도는 도쿄도이며, 공식 국호는 '일본국(日本?)'이다. 인구는 1억 2,2558만 4839명이다. 언어는 일본어가 통용되지만, 지역마다 독특한 방언이 있어 지위·직업·성별에 따라 언어적 차이가 심하다.
1.1.2. 사회구조
일본의 사회구조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 기본권들이 존중되고 있으나 아직도 인정과 의리의 중시, 엄격한 상하관계, 가족주의적인 기업정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전통적인 인간관계가 남아 있다. 즉, 일본 사회는 서구식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수용하면서도 전통적인 가치관과 문화가 공존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1.1.3. 종교
일본의 종교는 신도와 불교가 양대 종교이며, 국교가 정해져 있지 않다. 신도는 자연숭배와 조상숭배를 기본으로 하는 일본의 토착적인 종교이며, 불교는 6세기경 일본에 유입되어 토착화되었다. 또한 기독교(2.6%)와 기타 종교(7.9%)도 일부 신봉되고 있다. 자신을 무종교인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지만, 신사나 절에서의 종교적 관습과 실천은 일상화되어 있다.
일본은 복잡한 종교적 전통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종교가 마찰 없이 병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에 보편주의적인 종교와 가치관이 성숙되지 않았고, 현실주의적인 생활양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신도와 불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해왔으며, 개인의 생애에서도 다양한 종교적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다.
1.1.4. 문화
일본의 문화는 다양하며 서로 다른 문화가 마찰 없이 병존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이유는 일본에 보편주의적인 종교와 가치관이 성숙되지 않았고, 보편적 가치가 결여된 현실주의가 일본인들의 생활양식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문화적 특징으로는 먼저 약 수첩을 들 수 있다. 약 수첩은 지금까지 복용해 온 약들을 기록하는 수첩으로, 새롭게 약을 처방받을 때 참고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한 약물 사용을 도모한다. 또한 일본의 병원에서는 보호자의 상주가 불가능하고 오히려 면회 가능한 시간이 따로 정해져 있다. 그리고 개인당 1대의 TV가 있어 TV시청용 선불카드를 충전하여 TV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주사는 주로 팔뚝에 맞으며, 한국과 달리 엉덩이에 주사를 맞는 경우가 드물다. 마지막으로 초진 비용이 비싼 것도 일본 의료문화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처럼 일본의 문화는 전통적인 가치와 현실주의적 특성이 공존하며, 이는 병원 문화를 비롯한 여러 영역에서 나타난다. ...
참고 자료
보건사회연구원, 일본의 사회보장 제도, 1992
허준평, 의료법체계의 비교법학적 연구, 연세대 보건대학원, 1998
국민 건강 보험-외국의 건강 보험 제도 “일본”,
https://www.nhis.or.kr/nhis/about/wbhada04300m01.do
두산백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 - 일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6627&cid=40942&categoryId=3403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일본, http://encykorea.aks.ac.kr/
KOSIS (통계청, UN, 대만통계청), https://kosis.kr/index/index.do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국가정보 – 일본, https://www.kotra.or.kr/index.do
일본의 건강증진 정책의 방향-생활습관병 대책을 중심으로, 이정수, 이원철, 이경수, 고광욱, 최은진, 박천만, 保健敎育ㆍ健康增進學會誌第25卷第3號(2008.9), pp.167-18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5, No.3(2008)
일본의 지역사회건강증진사업 사례 및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국외출장결과보고서, 정영호,고숙자, 2018.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진 간호인력 운영체계 파악 및 현황 조사(일본ㆍ미국)국외출장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대한간호협회·대한간호조무사협회, 2013.07
포괄간호서비스 제도화를 위한 국외(일본) 출장결과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5
일본 진료보조인력 제도의 동향 및 시사점, 정형선, 국제사회보장리뷰, 2022 봄호 Vol.20, p.4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