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물류 졸업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제3자 물류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1.1. 3자 물류의 개념
1.1.1. 3자 물류의 정의
1.1.2. 3자 물류의 장단점
1.1.3. 제3자 물류 서비스의 필요성
1.1.4. 제3자 물류 서비스 관련 연구
1.2. 우리나라 제3자 물류 현황과 문제점
1.2.1. 우리나라 제3자 물류 현황
1.2.2. 국내 3자 물류의 문제점
1.3. 우리나라 3자 물류기업의 서비스 개선 방안
1.3.1. 물류 관련 법제도의 개선
1.3.2. 물류 전문 업체에 대한 전략적 지원
1.3.3. 물류 전문 업체의 대형화 유도
1.3.4. SCM의 활성화를 통한 제3자 물류의 촉진
1.4. 주요선진국의 제3자 물류 현황 비교분석을 통한 시사점
1.4.1. 미국의 제3자 물류 현황
1.4.2. 일본의 제3자 물류산업 현황
1.4.3. 선진국의 제3자 물류 현황 비교 분석을 통한 시사점
1.5. 참고문헌
2. 택배기사를 위한 경로 설정 시스템의 구현 및 설계
2.1. 부분별 구성
2.1.1. Splash Activity
2.1.2. Main Activity
2.1.3. Maps Activity 기본 설정
2.1.4. Maps Activity 구글 맵 설정
2.2. 실행 결과 및 동작 화면
3. Federal Express(Fedex)의 서비스경영과 서비스 경쟁력
3.1. Fedex는 어떤 기업인가?
3.1.1. 기업소개
3.1.2. 경영철학
3.2. Fedex의 서비스경영 사례
3.2.1. 슈퍼트랙커와 코스모스 시스템
3.2.2.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방식의 배송
3.2.3. 페덱스 익스프레스의 배송 서비스
3.3. Fedex의 서비스경쟁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제3자 물류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1.1. 3자 물류의 개념
1.1.1. 3자 물류의 정의
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란 물류 아웃소싱(Outsourcing)의 한 부분으로서 기업이 수행하는 다양한 활동 중 전략적으로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나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을 가진 분야에 기업의 모든 자원을 집중시키고 부가가치가 낮은 물류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게 업무의 설계, 기획 및 운영까지 위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제3자 물류는 전략적 물류 아웃소싱이라 할 수 있으며 전략적 아웃소싱이란 기업이 종래 내재되어 있거나 또는 새로운 업무에 대해 핵심 업무에 경영자원을 집중하기 위해서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또는 비용절감을 위해서 등의 명확한 전략적 목적을 갖고 업무의 설계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외부화하는 것을 말한다.
1.1.2. 3자 물류의 장단점
3자 물류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물류 업자 측면에서는 규모의 경제를 이용한 효율성의 증대, 운송 물량의 변동 폭 축소, 특정한 노하우에 투자, 서비스의 질과 유연성의 향상에 따른 고객 서비스의 향상 등을 꼽을 수 있다. 생산 업자 측면에서는 물류에 필요한 자본재 투입의 감소, 보관 장소에 유연성 제공, 잉여자원을 고부가 가치 사업에 투자, 물류 관리 비용이 명확히 드러남에 따라 다른 물류 관리 전략 비교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유통 업자 측면에서는 물류 담당 직원 선발 및 교육 부담과 비용 절감, 운수업 면허나 운전시간 관련규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고 자신의 업무영역에 보다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면 3자 물류의 단점으로는 물류 통제의 상실로 고객의 직접적인 접촉 불가능,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 불가능, 기밀 정보 누출, 자사 내부의 물류 노하우 축적의 상실 등이 있다. 또한 물류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의 상실로 인한 우려, 기업내부 정보의 사외유출 가능성, 제3자 물류업체의 전문성에 대한 검증의 어려움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1.3. 제3자 물류 서비스의 필요성
다다른 가혹한 경쟁 환경 속에서, 제3자 물류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기업들은 핵심 역량에 집중하기 위해 비핵심 물류 부문을 외부 전문 업체에 아웃소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3자 물류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제3자 물류는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 관계에 기반한다. 단순한 운송, 보관 등의 부분적 물류 기능을 넘어 효율적인 물류 전략과 계획 수립,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 등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모두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물류 아웃소싱 지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제3자 물류 시장의 발전은 더딘 편이다. 현재 국내 물류 아웃소싱은 주로 수배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다양한 물류 기능의 아웃소싱이 활성화될 여지가 크다. 또한 동북아 지역의 종합 물류 수요까지 감안하면, 제3자 물류 활성화의 편익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3자 물류의 이론적 배경과 활용 분야, 국내외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수출입 화주기업을 고려한 제3자 물류기업의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물류 시스템 효율성 제고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1.4. 제3자 물류 서비스 관련 연구
제3자 물류 서비스 관련 연구는 물류관리에서 고객만족도 개선을 위한 물류서비스 품질 개선, 물류서비스 기업 선택, 제3자 물류업체 선정 등 공급사슬관리 파트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 창출에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분야임을 보여준다. 물류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서비스를 극대화하는 것으로, 물류서비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효용을 창출하여 고객만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물류서비스 품질의 주요 구성요소는 거래 전 요소, 거래 요소, 거래 후 요소로 구분되며, 배달 신뢰성, 사이클 타임, 주문 충족률, 고객 정보 제공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류서비스의 중요 요인으로 정시배달, 주문의 완결성, 반품 가능성, 상품 가용성 커뮤니케이션 등이 제시되었다.
제3자 물류업체 선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제공되는 서비스 범위, 아웃소싱 경험, 전문성, 재무상태, 소요비용 등을 주요 기준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Randall(1994)은 서비스 범위, 아웃소싱 경험, 동종 산업 경험, 재무 상태, 소요 비용을, Damme, Amstel(1996)은 서비스 품질, 품질관리 시스템, 최신 시설, 처리율, 물류비용, 신뢰도, 유연성을, McGinnis, Menon, Ackerman(1998)은 낮은 비용, 정시배송, 손실률, 재무상태, 경영, 계약이행능력, 최고경영자 이용도, 위기대응 능력, 품질 중시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제3자 물류업체 선정 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고객만족 극대화를 위한 효과적인 물류서비스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물류서비스의 핵심 요소인 시간과 장소의 효용을 높이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3자 물류업체 선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1.2. 우리나라 제3자 물류 현황과 문제점
1.2.1. 우리나라 제3자 물류 현황
우리나라의 제3자 물류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03년 우리나라는 예상치 못했던 물류대란의 여파로 물류업무의 형태를 물류전문 기업에 아웃소싱 하는 기업들과 자가 물류로 회귀하는 형태로 나누어졌다. 국내의 제3자 물류서비스 형태는 아직 완전한 형태의 제3자 물류서비스라 할 수는 없지만, 단순한 아웃소싱에서 벗어나서 제3자 물류 형태로 모습을 바꾸는 초기단계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제3자 물류가 본격적으로 태동한 것은 1998년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및 화물 유통 촉진법의 규제완화와 경제암혹기인 IMF이후라고 볼 수 있다. IMF는 국내 경제에는 치명적인 암흑기였지만 물류산업에 있어서는 물류를 전문화시키고 발전을 촉진시킨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제3자 물류 활용 율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주사무국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25.7%만이 제3자 물류를 활용하고 있어 미국, 일본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3자 물류 기업과의 물류서비스 계약기간이 미국의 경우 1~3년 이내가 25%, 3~5년 이내가 20%, 5년 이상이 55%를 점유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의 경우 1년 이내가 45.8%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전략적 아웃소싱보다는 단순 물류외주를 제3자 물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제3자 물류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행중인 업체로는 50여 개 사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크게 제조, 유통업체에서 독립, 분리한 신생 물류전문업체, 기존 물류업체 중 일부 업체들, 외국계 물류 기업 등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1.2.2. 국내 3자 물류의 문제점
국내 3자 물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부족이다. 국내에서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물동량에 대한 도로, 항만 등 물류와 관련된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확충이 미흡하여 선진국이나 경쟁국에 비해 운송비에 대한 부담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물품의 적기적선과 신속·정확한 납기수행에 큰 어려움이 있다. 이는 산업정책 중심이 설비확충 등의 지원에 집중된 반면 도로·항만 등 물류체계의 정비 및 확충을 포함한 산업기반 시설 공급과 관련된 제도 개선에 소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부족은 기업의 물류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제품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국내기업의 국제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화물수송량 증대로 인한 교통혼잡으로 3자물류에 필수적인 제품의 원활한 수·배송 활동이 어려워져 차량회전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둘째, 물류거점 구축의 미흡이다. 물류거점은 화주기업 자체의...
참고 자료
[단행본]
권오경,「공급체인 아웃소싱 전력과 적용방안」, 대한상공회의소, 2001
권오경,「제3자 물류 산업의 지식 경쟁력 강화」, 2002
권오경,「해외 제3자 물류 시장동향 및 전망」, 대한상공회의소, 2002
로지스틱스 21,「물류관련법규 2003」, 한국물류정보서비스, 2003
이상근, 「물류아웃소싱과 제3자물류」, 삼영물류, 1999
임영균 외 2인,「고객지향적 유통관리」, 학현사, 2002
임종관 외,「세계 물류환경변화와 대응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하헌구,「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3
황인수,「로지스틱스 산업의 합리화와 국내기업들의 제3자 로지스틱스에 관한 연구」,「로지스틱스 연구」 제6권 제1호, 1998
허문구,「무역업체의 제3자 물류 이용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한국선주연합회, 2002
현대경제연구원,「표류하고 있는 제3자 물류정책」, 2005
현대물류관리편집위원, 「현대물류관리」, 문영각 , 1999
[논문]
박동헌,「제3자 물류기업의 서비스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윤태관,「제3자물류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이삼석,「제3자
서지민, "택배 배달 전 분류작업에 6~7시간 소모...배달 시간 부족해 매일 ‘장시간노 동’", 2018.11.20,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57393
백예리, "한국 택배산업 현주소, 출혈경쟁에 서비스 뒷걸음질…차별화로 승부해야", 2018.11.19.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06058
황규정, "하루에도 10번씩 왔다갔다...다산 신도시서 여전히 손수레 배송 중인 택배기 사가 한 말", 2018.10.13, https://www.insight.co.kr/news/183973
강정태, "집배원 잇단 사고 “근로시간 단축해야”...거창·진주서 사망사고 노동조 건 개선 촉구", 2018.10.25,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85409
주진희, "올해만 노동자 3명 사망'···택배노조 "살인기업 CJ대한통운 즉각 사죄하 라", 2018.11.05,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324074
장세희, "CJ대한통운 물류센터서 또 사망사고…트레일러에 치여", 2018.10.31, https://www.ajunews.com/view/*************4678
이혜미, "택배 파업' 6일째…CJ대한통운 '택배 대란' 장기화되나", 2018.11.26., http://www.ebn.co.kr/news/view/963168
류승연,"노동청 택배 현장감독 때도 청소년 심야노동", 2018.11.2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88730&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네이버, "강대국 택배 드론 서비스 추진 예정! 택배 드론 상용화 실화냐?", 2018.04.18,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066268&memberNo=481955&vType=VERTICAL
네이버, "[대구경북 드론조종사] 택배드론 상용화 어디까지?", 2018.10.22, https://blog.naver.com/humanpower119/221382708605
이규민, "Part 4 국내 최대, CJ대한통운 (첨단 기술로 속도와 서비스 확보)", 2018.04.01, http://withbuyer.com/news/view.asp?idx=15071
네이버, "최고의 택배회사 가보니..."자동화로 일할 맛 나네", 2018.10.29,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976904&memberNo=9325654&vType=VERTICAL
네이버, "더 스마트해졌다! CJ대한통운의 택배 분류 휠소터 시스템", 2017.03.09,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725456&memberNo=35872122&vType=VERTICAL
다음, "CJ GLS, 택배 서비스에 휴대폰 스캐너 도입", 2006.12.10, http://blog.daum.net/successlyj/10539397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06058
한국경제, "대한통운 택배장비 휴대폰 스캐너로 바꿔", 2006.01.1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865501
안드로이드 개발자 커뮤니티, http://developer.android.com
구글맵 API 홈페이지, http://cloud.google.com/console
스택 오버플로우, http://stackoverflow.com
김상형,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정복1⌟, 개정판, 서울 : 한빛미디어, 2011
김상형,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정복2⌟, 개정판, 서울 : 한빛미디어, 2011
이현수,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과 모바일 UX디자인⌟, 서울 : 보문각, 2013
인경열,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 젤리빈 + 아이스크림 샌드⌟, 서울 : 가메, 2012
정재곤,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4판, 파주 : 이지스퍼블리싱, 2017.
정재곤 , ⌜Do It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 파주 : 어지스퍼블리싱 , 2013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102700099149001&edtNo=11&printCount=1&publishDate=1999-10-27&officeId=00009&pageNo=49&printNo=10507&publishType=000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8431&cid=43168&categoryId=43168#TABLE_OF_CONTEN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