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공기관 빅데이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빅데이터의 이해
2.1. 데이터과학자
2.2. 빅데이터의 개념
3. 빅데이터 활용 사례
3.1. 국내 사례
3.2. 국외 사례
4. 데이터 비교 및 분석
4.1. 구글 Ngram 분석
4.2. 구글 트렌드 분석
4.3. 네이버 데이터랩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금은 제 4차 산업혁명의 시기를 맞이하여, 인터넷의 많은 활용에 따른 기업에서의 회사 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어,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클라우드"가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 용어인 것처럼, 포괄적 용어 "빅 데이터"는 아주 모호할 수 있다. 빅 데이터 시스템의 입력 데이터는 소셜 네트워크, 웹 서버 로그, 차량 흐름 센서, 인공위성 이미지, 방송 음성 스트림, 은행 거래 내역, 락 음악 MP3, 웹 페이지 콘텐츠, 정부 스캔 문서, GPS 경로 기록, 자동차 원격 측정치, 금융 시장 데이터로부터 쏟아질 수 있고, 이 목록은 끝이 없다.""
2. 빅데이터의 이해
2.1. 데이터과학자
데이터과학자는 실제 비즈니스 결과를 끌어내는 활동들 간의 트렌드를 발견하기 위해 기업의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사람이다. 데이터과학자들은 기업이 경쟁우위를 가지고 살아남으려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들은 빅데이터에서 어떻게 하면 최대 가치를 끌어내고 새로운 정보를 통합할 지에 대해 C레벨 임원들에게 조언을 주고 함께 일한다. 많은 방법으로 데이터과학자는 오늘날의 업무에서 변화 담당자로서 부서를 조정하고 정보를 통합한다.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데이터과학자의 역할이 점차 더 중요해지고 있다. 기업들이 빅데이터 및 데이터 분석을 더 많이 활용해 의사결정을 내리고, 클라우드 기술과 자동화, 머신 학습을 IT 전략의 핵심 구성요소로 활용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데이터과학자는 정보의 복잡성을 다루며 현업과 IT부서 모두에 영향을 주고 그들 자신의 연구를 추구할 수 있다. 그들은 데이터 관리에 대한 기능적인 통찰력으로 일하는 데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데이터가 무엇을 말하는지를 배울 때, 비로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2016년 노동통계청(BLS)에 따르면 데이터과학자의 평균 연봉은 약 11만 8,000달러로, 급성장하는 동시에 보수 좋은 직종이다. BLS는 이 분야의 일자리가 2024년까지 1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데이터과학자 직종은 만족도 높은 장기 커리어 경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데이터과학자의 주요 책임은 데이터 분석이다. 데이터 분석이란 데이터 수집에서 시작, 데이터과학자의 최종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끝나는 프로세스다. 데이터과학자는 통상 수많은 소스(출처)에서 이른바 '빅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다. 빅데이터는 크게 '구조화 데이터' 및 '비구조화 데이터' 2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과학자는 비구조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핵심 역할이 되고 있다.
산업별로 데이터과학자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분석해야 할 데이터의 종류가 다르다. 영업 분야에서는 효율성, 재고, 생산 오류, 고객 로열티 등에 관한 정보를,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는 고객 서비스 개선, 트렌드 파악, 신규 서비스/제품 개발에 도움을 주는 데이터를, 금융 분야에서는 사기 및 부정 행위 감지, 컴플라이언스 ...
참고 자료
스즈키 료스케, 「빅데이터 비즈니스」
최규현, “빅데이터 연구동향과 시사점, 2012주간기술동향 , 삼성SDS
조성우, 「Big Date 시대의 기술」
[기자수첩] 컴퓨터가 인질로…랜섬웨어의 ‘공포’
http://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348182
서울시-SKT 빅데이터 서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101602109919807012
서울시-SK텔레콤, 빅데이터 융합으로 교통문제 해결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3191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사업 흐름과 활용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16
행자부, 안전·교통 등 민생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확산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131_0014674015&cID=10305&pID=10300
데이터 전문기업 220社 4차 산업혁명 꽃 피운다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2/89772/
“빅데이터로 의료비 줄이고 일자리 창출”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123012014&wlog_tag3=naver#csidx5e07f48856f1cf5b81e818eb7500f21
윤미영, 권정은 ,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세상」,2012,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 경영을 바꾸다, 함유근, 삼성경제연구소, 2012
강동식, 정보화진흥원, 스마트 워크, 선진 사례 공유, 2009.09.24
김보리 김경은, 2013, 이데일러, 인재 예방위해 사기업 CISO 제도 정착돼야 강조
신정, 최근 SmartWork Trend, 전자정보센터, 2010.11
최경섭, 2010, 삼성ㆍLG 원천기술 확보 세계시장서 와이브로 주도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 / 2013.04.15 / by 조윤정
Big Data 시대의 기술 /2012. / by 조성우
Sarah K. White. CIO, 최고의 직업 1위"···데이터 과학자란? 역할은? 되는 방법은?
통계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