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서관 분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 방안
1.1. 사서직의 전문성
1.1.1. 문헌정보학적 전문성
1.1.2. 주제전문성
1.2.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 방안
1.2.1. 전문인력의 차별 없는 연수와 연구 활동 보장
1.2.2. 사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구 확대와 처우 개선
2. 대학도서관 사서직 교육훈련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1. 대학도서관 사서직 교육훈련 제도의 문제점
2.1.1.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무와의 괴리
2.1.2. 교육훈련 기회의 부족
2.1.3.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질적 일관성 부족
2.2. 대학도서관 사서직 교육훈련 제도의 개선 방안
2.2.1. 교육 프로그램 내용의 현대화
2.2.2. 교육훈련 기회 확대
2.2.3.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 및 표준화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 방안
1.1. 사서직의 전문성
1.1.1. 문헌정보학적 전문성
문헌정보학적 전문성이란 대학에서 문헌정보학을 이수하면 습득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이다. 문헌정보학은 복합 학문의 성격이 강하여 문헌정보와 지식정보를 다루는 광범한 지식 및 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강의실 수업으로 그치는 수험용 학습보다는 도서관 현장의 체험을 통해 도서관 서비스를 피부로 느끼는 공부가 더 중요하다. 따라서 사서는 문헌정보학의 이론 및 실무를 체계적으로 연마하면서 인간으로서 인간을 대하는 예절 및 태도 등 실천적 인간관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1.1.2. 주제전문성
둘째, 주제전문성으로 주제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즉, 큰 주제로서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그리고 세분된 분야에서 철학, 문학, 역사학, 예술학, 경영학, 법률학, 의학, 농학 또는 대상 고객별 어린이·청소년 전문, 실버전문, 다문화전문 등으로 대학 문헌정보학과에서 다루지 못하는 주제분야를 사서들이 선택하여 스스로 전문성을 연마해야 한다. 이렇게 사서들이 주제전문성을 향상시키려면 평생 공부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사서가 책을 읽지 않는다면 주제전문성은 높아질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서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문헌정보학적 지식 및 기술의 기반에서 따뜻하고 원숙한 인간관계의 기술을 연마하며, 부지런히 책을 읽고 글을 쓰면 된다. 더 나아가 사서는 도서관에만 국한하지 말고 도서관 밖의 넓은 세상을 견지하면서 도서관을 사회 속으로 통합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1.2.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 방안
1.2.1. 전문인력의 차별 없는 연수와 연구 활동 보장
현재 학교도서관의 근무자 유형은 사서와 사서교사이며, 이들은 학교도서관이라는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동의 업무 수행자로서 독서교육의 발전과 미래사회의 인재 양성을 위한 학교도서관 역할을 수행하는 공동의 주체이다. 교육과정 연계에 필요한 장서개발, 학교도서관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교육과정, 저작권,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 사례 등은 사서와 사서교사가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며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는 DLS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연구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학...
참고 자료
대학도서관운영론 강의안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 -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 원, 2004
학교도서관저널, ‘사서의 전문성을 인정하는 오늘을 바란다 : 교육공무직 사서 주관 학교도서관 정책토론회, 그 후 당부의 목소리’, 2023.03.06.
김해뉴스(김미동 기자), ‘사서란 책을 통해 사람과 소통하는 직업’, 2021. 01. 12
김무완,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위논문, 대구: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홍천연봉도서관, “홍천연봉도서관”,
https://www.hongcheon.go.kr/library/yblib/index.php?g_page=intro&m_page=intro01, 2020.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