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내분비계와 골다공증
1.1. 내분비계의 구성과 기능
1.1.1.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내분비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기관이다. 뇌하수체는 전엽과 후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중요한 호르몬에는 성장호르몬, 갑상선 자극호르몬,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난포 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등이 있다. 성장호르몬은 뼈의 형성과 성장, 3대 영양소 대사에 관여한다. 분비가 항진되면 거인증이, 분비가 저하되면 말단비대증 및 난쟁이가 나타난다. 갑상선 자극호르몬은 갑상선에서 티록신 분비를 촉진하고,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은 부신피질에서 코티솔 분비를 촉진한다. 난포 자극호르몬은 남성의 경우 고환을 자극하여 정자 생산을 촉진하고, 여성의 경우 난포를 성숙시키며 에스트로겐 분비를 촉진한다. 황체형성호르몬은 남성의 경우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여성의 경우 배란과 황체 형성,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촉진한다.
뇌하수체 후엽에서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분비된다. 옥시토신은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켜 분만을 촉진하고 유선을 수축시켜 유즙 분비를 촉진한다. 바소프레신은 항이뇨호르몬이라고도 불리며, 혈압을 상승시키고 세뇨관의 수분 재흡수를 촉진한다. 바소프레신 분비가 과다하면 핍뇨증이, 분비가 저하되면 요붕증이 발생한다.
이처럼 뇌하수체는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성장과 발달, 생식, 대사, 수분-전해질 균형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중요한 기능을 조절한다. 따라서 뇌하수체의 기능 이상은 여러 가지 내분비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1.1.2. 갑상선
갑상선은 목의 정면에 위치한 나비모양의 기관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에 의해 자극을 받아 갑상선 호르몬을 필요한 만큼 생산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티록신(T4)과 트리요오드티로닌(T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로 세포의 산소 소비와 조직의 대사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티록신 호르몬은 인체 기초 대사율을 조절하고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에너지와 신경계에 작용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바제도우병을 유발하며, 안구 돌출, 변비, 체중 감소, 따뜻하고 축축한 피부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반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출생 시 크레틴병을 유발하거나 성인의 경우 점액수종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1.3. 부갑상선
부갑상선은 목 앞쪽 갑상선의 뒤에 위치한 작은 분비선으로, 파라트홈온이라고 불리는 부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한다"" 부갑상선호르몬은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혈중 칼슘농도가 낮아지면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여 파골세포의 활성화로 뼈에서 칼슘을 뽑아내어 혈중 칼슘농도를 올리고, 혈중 칼슘농도가 높아지면 갑상선에서 칼시토닌이 분비되어 조골세포의 활성화로 뼈를 만들어 혈중 칼슘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다""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은 부갑상선에서 부갑상선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발생하며, 고칼슘혈증, 골다공증, 신결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반면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 저하로 인해 저칼슘혈증, 근육경련, 우울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1.4. 부신
부신은 신장 상단에 위치한 내분비선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부신피질과 부신수질이 그것이다"" 부신피질에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알도스테론, 코티솔, 안드로겐이 분비되며, 부신수질에서는 카테콜아민 호르몬인 에피네프린과 노에피네프린이 분비된다""
부신피질 호르몬인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유지한다"" 코티솔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고 면역기능을 억제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부신피질은 성호르몬인 안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