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의 기능 - 담즙 분비, 저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
1.2. 간의 기능
1.2.1. 대사기능
1.2.2. 담즙 생산
1.2.3. 저장 기능
1.2.4. 식균작용
1.2.5. 스테로이드 대사
2. 담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1. 담낭의 구조
2.2. 담낭의 기능
3. 췌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3.1. 췌장의 구조
3.2. 췌장의 기능
3.2.1. 내분비 기능
3.2.2. 외분비 기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gland)으로 정상 성인의 간 무게는 1,300~1,800g이다. 간은 오른상위복부(RUQ)에 위치하며, 횡경막(가로막) 바로 아래에 놓여 있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구분된다. 두 엽은 차례로 뒤, 앞, 내측, 외측 구역의 상하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간의 뒷면에는 대략 H자 모양의 작은 두 엽, 즉 윗부분의 꼬리엽과 아래의 네모엽을 이루고 있으며 이 두 엽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간문이라 부른다. 간의 기능 단위는 주세포인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소엽의 간세포들은 중심정맥을 축으로 마차바퀴 같이 배열되어 있다. 다면체인 간세포의 한 면은 간의 모세혈관인 굴모양혈관(동양혈관)에 접해 있고 다른 한 면은 쓸개모세관(담세관)에 접해 있다. 문맥혈과 동맥혈은 굴모양혈관으로 들어가서 간소엽을 통과한다. 간소엽에서 간세포와 혈관 사이에서 물질 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중심정맥, 간정맥, 아래대정맥(하대정맥)으로 진행한다. 림프관은 노폐물을 배출한다. 담즙은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담세관으로 배출되며 담관을 지나 담낭으로 이동한다. 내피세포와 쿠퍼세포는 동양혈관벽을 형성한다. 쿠퍼세포는 단핵성대식체계(망상내피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대식작용을 한다. 쿠퍼세포는 문맥에서 간으로 들어오는 혈액 속의 세균과 그 밖의 다른 탈락세포를 제거하는 여과기 작용을 한다.
1.2. 간의 기능
1.2.1. 대사기능
간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탄수화물 대사의 경우, 간은 혈당 조절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한다"". 간으로 유입된 포도당은 인슐린의 도움을 받아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저장된다. 한편 혈당이 낮아지면 글루카곤의 자극을 받아 글리코겐이 다시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혈당을 유지한다"". 또한 간은 아미노산을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인 당원신생을 통해서도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
지방 대사에서 간은 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하고, 지방산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공급한다"". 또한 간은 지단백질 형성,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합성, 그리고 단백질과 탄수화물로부터의 지방 합성 등 지방대사에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간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80%는 담즙산 생성에 사용된다"".
단백질 대사에서 간은 아미노산의 탈아미노 작용을 통해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요소를 생성하여 해독한다"". 또한 알부민,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등 혈장 단백질을 합성하며, 호르몬이나 약물 등의 생물학...
참고 자료
김금순 외 (2016),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473-477p
서문자 외 (2000),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196-204p
이영휘 외 (2017), 성인간호학 Ⅰ, 정담미디어, 499-502p
이영숙 외 (2013), 성인간호학 Ⅰ, 현문사, 421-425p
네이버 지식백과] 간의 구조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39287&cid=55758&categoryId=55758
성인간호학] 간·담낭·췌장 - 구조 및 기능|작성자 Ascend
https://blog.naver.com/bagj97/222207732395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파주:수문사
알기쉬운 췌담도 해부학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동석호
성인간호학 수문사 윤은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