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근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선근증의 이해
1.1. 자궁선근증의 정의
1.2. 원인
1.3. 증상 및 징후
1.4. 진단
2. 자궁 절제술
2.1. 자궁 절제술의 종류 및 방법
2.2. 복식 자궁 절제술과 질식 자궁 절제술의 장단점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3.2. 간호중재
3.3. 간호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선근증의 이해
1.1. 자궁선근증의 정의
자궁선근증은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1.2. 원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의견이 분분하다. 가장 유력한 학설은 자궁내막의 기저부위가 직접 자궁근층으로 침윤하거나 팽창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자궁근층의 미분화 중배엽층의 화생 및 비정상 위치의 뮬러관이나 중신관 조직, 유전, 외상, 바이러스에 의한 전이, 고 에스트로겐 혈증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1.3. 증상 및 징후
자궁선근증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환자 대부분 선근증을 가지고 있어도 무증상적으로 지내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생리 주기에 맞추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40~50대의 경산부에서 기능장애성 자궁출혈이 나타날 수 있으며, 월경곤란증으로 인해 팽창된 자궁내막이 자궁근 수축으로 인해 동통을 유발하여 산통의 성격을 가진다. 내진 소견상 크고 단단하며 민감한 자궁이 촉지될 수 있다. 월경과다로 인해 생리양이 많으며 생리 기간이 길어질 수 있는데, 이는 자궁 강(cavity) 내의 자궁내막의 양적 증가와 난소의 기능장애, Estrogen의 증가와 Prostaglandin 때문이다. 성관계를 할 때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변비가 심해질 수 있다. 생리 시작 1주일 전부터 심한 생리통이 시작되어 생리가 끝난 후에도 일정기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더불어 rectum, lower sacral region으로 연관통이 나타날 수 있다. 약 80%에서 다른 질환과 동반되는데, 자궁근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선근증 [adenomy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성미혜 외 3명,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 p69-120
박철용, 여성 건강 간호학Ⅰ, 수문사(2016)
박철용, 여성 건강 간호학 Ⅱ, 수문사(2016)
영남일보: http://www.yeongnam.com/mnews/newview.do?mode=newsVieq&newskey
송경애, 기본간호학, 수문사(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