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운동 검사와 생리학적 측정
1.1.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부하검사의 필요성
운동부하검사는 트레드밀이나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하여 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심장의 이상반응과 기능적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심혈관 능력뿐 아닌 허형성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하고 호흡 순환 기능을 측정하여 개개인의 상태에 알맞은 운동 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운동부하검사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심혈관계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여 최대산소 섭취량과 체력정도를 분류하고 무증상자의 심혈관계 상태를 사정하며,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평가한다. 둘째, 심근허혈 진단을 통해 고, 중, 저위험군의 구분과 관상동맥 질환 정도를 평가하며, 심근경색, 풍선성형술, 관상우회술을 진단한다. 셋째, 심장질환과 관련된 증상인 협심증, 의식소실, 호흡곤란, 심계항진을 평가한다. 넷째, 부정맥의 평가를 통해 부정맥을 가진 환자 또는 운동 시 유발되는 부정맥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약물치료 효과의 평가, 운동 시 반응하는 혈액동력학적 반응 평가, 심장수술 전 후 평가, 무증상 심근허혈 평가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운동부하검사는 자신의 건강상태와 기능적 운동능력을 평가하고, 운동 처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운동부하검사 장비의 차이점과 프로토콜
운동부하검사 장비에는 트레드밀, 자전거 에르고미터, 암 에르고미터, 벤치스텝이 있다. 트레드밀은 점증부하에 가장 적합한 장비로, 높은 전신 산소 섭취량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균형감각 또는 보행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는 부적합하다. 자전거 에르고미터는 고령자나 요통환자, 비만자도 안전하게 검사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