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리더십 시간 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리더십의 의미와 역할
1.1. 리더십의 정의와 특성
1.2. 리더십의 원천과 발휘
1.3. 리더십과 시간관리
1.4. 리더십과 좋은 습관
1.5. 리더십과 미인대칭의 활용
2.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2.1. 인간관계의 중요성
2.2. 의사소통의 유형과 장애요인
2.3.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
2.4. 인맥관리 전략
3. 성공과 행복을 위한 목표설정
3.1. 성공과 행복의 정의
3.2. 인생 목표 설정의 원칙과 방법
3.3.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12단계
4. 시간관리의 원칙과 실천
4.1. 시간관리의 필요성과 정의
4.2. 시간 활용의 특징과 시간도둑
4.3. 우선순위 기반의 시간관리 전략
4.4. 시간관리 방해요인 극복하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리더십의 의미와 역할
1.1. 리더십의 정의와 특성
리더십의 정의와 특성이란 리더십이 무엇인지와 리더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을 의미한다.
리더십은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성과를 극대화시켜 목표 달성을 실현시키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리더십은 조직이나 집단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리더십의 특성으로는 첫째, 리더십은 지위나 권력이 아닌 책임에 기반한다. 피터 드러커는 "리더십은 자질이 아니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위나 특권이 아닌 책임"이라고 말했다. 즉, 리더십은 단순한 권한이나 권력에 의해 발휘되기보다는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책임감과 목표 달성을 위해 발휘되는 능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리더십은 집단 속에서 발휘되는 영향력이다. 리더십의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리더십은 공동의 일이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한 사람, 즉 리더가 다른 사람들에게 지지나 도움을 얻게 되는 사회적 영향 과정이다. 따라서 리더십은 혼자서는 발휘될 수 없고,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현된다.
셋째, 리더십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르게 발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는 신속한 대응을 위해 독재적 리더십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민주적 리더십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리더는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리더십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발휘되는 영향력으로, 리더의 지위나 권력이 아닌 책임감과 상황에 따른 적절한 리더십 발휘가 중요한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1.2. 리더십의 원천과 발휘
리더십의 원천과 발휘는 리더가 가지고 있는 영향력의 근원과 이를 어떻게 발휘하는지를 나타낸다. 리더는 조직 내에서 다양한 원천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를 효과적으로 발휘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리더의 영향력의 원천은 보상적 권력, 강압적 권력, 합법적 권력, 전문적 권력, 준거적 권력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보상적 권력은 리더가 부하들에게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서 비롯되며, 강압적 권력은 리더가 부하들을 강압하거나 처벌할 수 있는 능력에서 생긴다. 합법적 권력은 리더가 조직 내에서 특정한 지위나 역할을 차지함으로써 소유하게 되는 권력이다. 전문적 권력은 부하가 수행하게 될 과업에 대한 리더의 지식과 전문성 때문에 생겨나며, 준거적 권력은 부하들이 자신을 리더와 동일시하고 존경하며 모방하기 원하는 정도에 따라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영향력의 원천을 가진 리더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원천의 권력을 발휘할 수 있다.
둘째, 리더십의 발휘는 단순히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발휘하는 과정이다.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에게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여 그들의 행동과 태도에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욕구와 동기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리더는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여 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특히 카리스마와 같은 정서적 영향력을 발휘하여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동기부여와 협력을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리더십의 발휘는 단순한 권력의 행사가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쳐 조직의 목표 달성을 이루어내는 복합적인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종합해보면, 리더십의 원천은 다양한 형태의 권력에서 비롯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발휘하여 구성원들의 행동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조직의 목표 달성을 이루어내는 것이 리더십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3. 리더십과 시간관리
리더십에 있어 시간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리드하는 자, 리드 당하는 자, 환경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세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간관리에 능한 리더가 있다면 여러 가지 리더십을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긴급사태에 직면했을 때, 서둘러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독재적 리더십을 취할 것이다. 시간관리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리더는 바로 명령을 내리고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다. 그러나 긴급한 상황을 요하지 않는 상태에서 발휘되는 민주적 리더십에 있어서는 당장 눈 앞의 시간은 많이 소요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시간이란 상황과 연속의 유기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을 잘 관리하는 것'이란 리더가 일련의 조직 내 사건들을 체계적으로 잘 관리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도 규정할 수 있다. 리더는 시간을 잘 확보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예상 가능한 조직 내 사건들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이러한 시간관리 활동은 셀프리더십에서 발휘되며, 시간관리는 리더의 '자기계발' 요소가 될 수 있다.
1.4. 리더십과 좋은 습관
좋은 습관은 자기관리가 될 수 있으며 리더십의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 성공의 과정은 나쁜 습관을 줄여 나가는 과정이자, 동시에 좋은 습관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성공적인 리더십은 근면으로 통하는 '좋은 습관'에서 비롯된다.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근면'이라는 좋은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면하지 않고서는 리더로서 성공할 수 없다.
리더십에 있어 좋은 습관의 의미는 다양한 글로벌 리더들에게서 살펴볼 수 있다. 미국 파르나소스의 최고 경영자 제롬 도슨은 성공적 투자자가 되기 위한 요인으로 똑똑해지기 보다는 감정 콘트롤을 잘 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즉 감정에 휩쓸린다면 냉정한 판단을 하기가 어려우며, 중요한 결정에서도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좋은 습관을 리더십 능력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형성도 필요하다. 즉, '왜 프로젝트를 ...
참고 자료
cnb 저널, [리더십이 경쟁력이다 ⑪]리더의 시간관리는 ‘셀프 리더십’이다, 제363-364호, 2014.01.27.
제임스 c, 헌터 저, 서번트 리더십, 시대의 창, 2002.05.27.
신구범, 한국인의 리더십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학술논문, 2001
직장인을 위한 간단한 3단계 시간관리법, 매일경제, 2019.04.01
존 맥스웰 리더십 불변의 법칙, 존 맥스웰, 비즈니스 북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