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항생제와 아세틸살리실산의 합성 및 효능
1.1. 항생제의 종류와 작용 메커니즘
1.1.1.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 과정을 차단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 세균은 인체 세포에는 없는 세포벽이라는 구조로 둘러싸여 있어 인체 내의 삼투압보다 높은 세균 내 압력을 유지하며 살아간다. 세포벽은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이므로 세포벽 합성 과정의 각 단계를 억제하면 세균이 파괴된다.
대표적인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로는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이 있다. 이들은 베타-락탐 고리라는 3개의 탄소와 1개의 질소로 이루어진 이종 원자 고리를 가지고 있다. 이 베타-락탐 고리가 세균 세포벽 합성 효소인 펩티딜트랜스퍼라제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벽 합성을 방해한다. 세균은 세포벽이 파괴되면 삼투압 차이로 인해 세포가 파괴되어 죽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는 증식 중인 세균에 대해서만 효과적이며 인체에는 해롭지 않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항생제 사용으로 내성 세균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1.1.2. 단백질합성 억제 항생제
단백질합성 억제 항생제는 리보솜의 단백질 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세균의 단백질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예로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클로람페니콜,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등이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는 16S 리보솜 RNA와 결합하여 리보솜의 번역 정확도를 저하시킨다. 이로 인해 오작동 단백질이 합성되어 세균 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대표적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로는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겐타마이신 등이 있다.
클로람페니콜은 50S 리보솜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펩타이드 결합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단백질 합성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세균의 성장과 분열이 억제된다.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는 50S 리보솜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펩타이드 연장을 방해한다. 이를 통해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