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휴넷 회계감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회계감사의 개요
1.1. 회계감사의 정의
1.2. 회계감사의 목적
2. 감사위험과 중요왜곡표시위험
2.1. 감사위험과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차이점
3. 내부통제
3.1. 내부통제의 정의와 평가과정
3.2. 내부통제의 5가지 구성요소
3.3. 위험평가절차와 분석적절차
4. 회계부정
4.1. 부정의 세 가지 상황
5. 통제테스트
5.1. 통제테스트의 정의
5.2. 통제테스트의 4가지 절차
6. 감사유형
6.1. 초도감사와 계속감사의 정의 및 차이점
7. 내부회계관리제도
7.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구성요소와 원칙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회계감사의 개요
1.1. 회계감사의 정의
회계감사란 경제주체의 회계기록에 대한 주장을 감사인이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경제주체의 주장과 확립된 기준 사이의 일치 정도를 확인하고 결과를 관심있는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체계적인 절차이다.
즉, 회계감사는 기업의 재무제표와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이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감사인은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가 회계기준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그리고 중요한 왜곡표시가 없는지를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감사보고서로 표명한다. 따라서 회계감사는 기업의 재무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2. 회계감사의 목적
회계감사의 목적은 경제주체의 회계정보가 관련 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작성되어 이해관계자에게 신뢰성 있게 제공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보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회계감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제표가 중요한 왜곡표시 없이 공정하게 표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감사인은 감사를 통해 재무제표가 관련 회계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작성되었는지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재무제표 이용자들이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및 현금흐름 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둘째, 기업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감사인은 기업의 내부통제 수준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내부통제의 적절성과 운영 효과성을 판단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산 보호, 회계정보의 신뢰성 확보, 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이 달성되도록 한다.
셋째, 기업이 관련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감사인은 기업이 재무보고, 세무, 노동,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관련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법적 책임 이행을 보증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확보한다.
넷째, 경영진의 재무보고 과정에서의 부정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고 적발하는 것이다. 감사인은 재무제표 왜곡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부정 가능성을 고려하여 감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경영진의 부정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투명한 기업경영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회계감사는 기업의 재무정보 신뢰성 제고, 내부통제 강화, 법규 준수 확인, 부정행위 방지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다.
2. 감사위험과 중요왜곡표시위험
2.1. 감사위험과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차이점
감사위험은 재무제표가 중요하게 왜곡되어 있을 경우에 감사인이 부적합한 감사의견을 ...
참고 자료
KIFRS 기준서, https://www.kifrs.com/s/200/6e1bc2
회계감사 강의 및 교안
파인(https://fine.fss.or.kr), 금융용어사전, 내부통제
KIFRS.com((https://www.kifrs.com), 감사기준서 315-기업과 기업환경 이해를 통한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A14~A16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위원회(https://www.k-icfr.org/index.asp),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및 보고 적용기법 전문(2022.2.7. 개정), 2022.02.17, 6p
<회계감사>교안, 휴넷평생교육원, 2023, 18p, 28p, 38~39p, 48p, 65p, 7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