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산업혁명 세무회계재무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회계시스템의 변화
1.1. 제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현황
1.2. 회계시스템의 정의와 현황
1.3. 연구의 목적과 모형
2.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2.1. 초연결 사회와 IoT(Internet of Things)
2.2. Big Data
3. 기술 발전에 따른 회계시스템의 변화
3.1. IoT와 회계시스템의 접목
3.2. Big Data와 회계시스템의 접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과 회계시스템의 변화
1.1. 제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현황
인터넷 혁명은 우리에게 정보의 자유로움을 주며 '정보의 홍수'라는 말까지 만들었을 정도로 우리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왔다. 그리고 기술 발전에 따라 우리는 손쉽게 휴대폰, 태블릿, PC 등 몇 십 년 전만 해도 전문가들의 영역이라고 생각되었던 전자, 정보 분야들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처럼 우리 삶에 미친 변화들은 우리의 삶 자체를 통째로 바꿔놓고 그에 따라 우리들이 만나게 되는 산업구조와 경제구조 등이 모두 바뀌게 되었다.
이제는 제4차 산업혁명이 우리의 삶에 도래하였다. Big Data를 이용하여 운영되는 대량의 정보처리를 통한 정보통제, AI의 진보를 통해 얻어지는 약(弱)인공지능 기술들, 로봇으로 인하여 만들어진 산업로봇들은 단순히 생산뿐만 아니라 다품종대량생산을 보편적으로 가능하게 할 정도로 유연한 생산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제4차 산업혁명은 이러한 제조기술 뿐만 아니라 데이터, 현대 사회 전반의 자동화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 사람만 써왔던 인터넷을 AI를 통하여 인터넷을 플랫폼 기반으로 활용하며 사물과 인간을 연결하는 비즈니스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사물과 사물까지 연결시키는 IoT 등이 등장하고 있다. 결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지능화 된 인공지능이 주를 이룰 것이며, 사물과 사물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1.2. 회계시스템의 정의와 현황
회계시스템이란 기업에서의 수입과 지출 등 경제적 활동을 측정하고, 이를 체계적인 틀에 따라 처리한 다음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절차를 설계하고 운용하며 명확함을 중요시 하는 시스템이다. 현재의 회계시스템의 큰 틀에서 주요 재무보고서와 관련 이해관계자로는 관리회계가 경영자인 내부정보이용자들을 위한 것이며, 특수회계는 정부기관 등, 세무회계는 과세당국에게, 재무회계는 투자자와 노동조합 등 이해관계자와 정부기관과 은행 등 외부정보이용자들을 위한 것이다. 회계시스템으로 각종 회계정보를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현재의 회계시스템은 재고수량을 파악하기 위해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을 이용하며, 실지재고조사법을 더 많이 이용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제품의 개수를 일일이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수량 파악의 용이성을 위하여 실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실지재고조사법은 파손되거나 분실된 경우 전부 판매수량으로 카운트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현재는 기말에 당기순이익을 계산하기 위해서 총평균법과 이동평균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등 다양한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가장 좋은 방법인 개별법은 현실상 불가능하여 기업들이 사용하지 않고 있다. 기업은 정부기관이나 투자자, 은행에게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재무회계를 하는데, 다른 회사와 협력하여 경쟁업체에게 불이익을 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 회계시스템이 아직 완벽하게 투명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연구의 목적과 모형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이 도래되면서, 제4차 산업혁명의 주된 기술들이 회계시스템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이며 연구하고 또한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되는 회계사의 직업을 회계시스템이 어떠한 모습으로 대체될 것인지 예측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 IoT를 접목시키게 되면 회계기법 중에 하나인 실지재고조사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Big Data를 접목시키게 되면 회계시스템의 보고체계가 어떠한 방법으로 경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2.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2.1. 초연...
...
참고 자료
박훈(2020), 4차산업혁명을 고려한 세정 및 세제의 개선방안, 租稅와 法 제13권 제1호
국회예산정책처(202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조세환경 변화와 정책 과제
변상근 기자(전자신문), “혁신서비스 성공사례 '마켓컬리'...기자, 일주일 이용해 보니”, 2019-01-02, https://www.etnews.com/20190102000023
손승표(2018), 4차산업혁명시대 기업경영 패러다임 연구 - 경영전략으로서의 브랜드가치 제고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제41권 4호
이원준(2018), 4차 산업혁명의 논의와 경영 및 마케팅 관리의 변화, Korea Business Review 제22권 제1호
이은민(2016),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방송정책 28권15호
Kagermann, H(2014), Industrie 4.0 in Produktion, Automatisierung und Logistik. Anwendung, Technologien und Migration : 603 ~ 614
8. Dujin, A. (2014) Industry 4.0.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How Europe Will Succeed, Roland Berger Strategy Consultants GMBH
김형우(2014). 초연결 사회의 Neo-smart-human 중심 스마트 프로덕트 기획/개발 프로세스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광석(2017),「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삼정KPMG 경제연구원.
김권중. 「K-IFRS NEW 회계원리 제6판」,창민사(2017)
리처드 서스킨드.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직의 미래」,위대선 옮김,외이즈베리(2016)
두산백과. “IoT”,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40106001421178
두산백과. “Big Data”,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40320001443028